증권
금융위, 외환건전성 규제 강화…증권사 돈묶여 투자확대 `발목`
입력 2020-06-02 17:48  | 수정 2020-06-02 19:44
금융당국이 증권사의 외환건전성 규제안을 강화한다. 주가연계증권(ELS) 마진콜 사태로 촉발됐던 일시적 외환 품귀 위기 등을 막기 위한 조치다. 다만 증권업계에서는 의무보유 규제 외환이 늘어나는 만큼 자체 투자 여력이 감소할 수 있어 수익성 저하를 우려하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하반기 증권사 외화유동성 스트레스테스트 실시와 함께 외환건전성 부담금 제도를 정비하는 등 외환건전성 개선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2일 밝혔다. 이번 개선 방안은 코로나19 여파로 자본시장 리스크가 커지고 있고, 지난 3월 증권사들의 대규모 ELS 마진콜 사태 등이 발생하면서 증권사들의 외환 리스크에 대응하는 차원으로 알려졌다.
앞서 국내 증권사들은 3월 말 글로벌 증시 폭락으로 ELS 연계 파생상품에 대한 마진콜 요청을 받아 일시에 수조 원대 달러를 매집한 것으로 전해졌다. 외환시장에서는 증권사들의 달러 매집에 외환 품귀 현상이 일어나기도 했다. 실제 한국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지난해 4분기 말 대비 올해 1분기 말 외화예금이 크게 상승하기도 했다. 삼성증권은 연말 외화예금이 7180억원에서 1조2801억원으로 증가했고, 미래에셋대우는 2725억원에서 9790억원으로 늘어났다. 같은 기간 한국투자증권은 1313억원에서 7171억원으로 급상승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향후 자체 리스크 헤지 및 금융당국의 외환 정책 여부에 따라 외환에 대한 리스크를 줄일 수 있도록 다양한 방안을 강구 중"이라고 전했다.
금융당국이 하반기 외환규제를 강화할 경우 자칫 증권사 경쟁력이 약화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한 대형 증권사 관계자는 "증권사는 외화 발행어음 같은 형식으로 조달할 수밖에 없는데, 이자비용은 1.5%가량 드는 데 반해 달러예금으로 예치할 경우 이율이 0.1~0.2%밖에 되지 않아 역마진이 발생하고 투자도 할 수 없는 자산이라 전체 수익률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 지적했다.
[진영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