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작년 노동소득분배율 개선됐지만…1인당 GNI 4.1% 감소"
입력 2020-06-02 10:52  | 수정 2020-06-09 11:05

지난해 달러화 기준 한국의 1인당 국민총소득(GNI)이 10년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줄었습니다.

한국은행이 오늘(2일) 발표한 '2018년 국민계정(확정) 및 2019년 국민계정(잠정)'에 따르면 지난해 1인당 GNI는 3만2천115달러로 전년(3만3천564달러)보다 4.1% 감소했습니다.

원화 기준으로는 3천693만 원에서 3천743만 원으로 1.4% 증가했습니다.

이런 감소폭은 금융위기 때인 2009년(-10.4%) 이후 최대입니다. 가장 최근 1인당 GNI가 감소한 적은 2015년(-1.9%)이었습니다.


명목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높지 않은 가운데 지난해 원화 약세가 달러화 기준 소득을 끌어내렸습니다.

한국은 2017년(3만1천734달러)에 국민소득 3만달러 시대를 열었습니다.

1인당 GNI는 국민이 국내외에서 벌어들인 총소득을 인구로 나눈 통계입니다. 한 나라 국민의 생활 수준을 파악하는 지표로 사용된습니다. 3만 달러는 선진국 진입 기준으로 인식돼왔습니다.

실질적인 주머니 사정을 보여주는 1인당 가계총처분가능소득(PGDI)은 1만7천381달러(2천26만 원)로, 2018년(1만8천63달러)보다 3.8% 감소했습니다.

한은이 발표한 지난해 실질 GDP 성장률 잠정치는 연 2.0%입니다. 올해 1월 발표한 속보치와 같습니다.

2018년 GDP 성장률 확정치는 연 2.9%로, 0.2%포인트 상향 조정됐습니다.

지난해 명목 GDP는 1천919조 원으로, 1년 전보다 1.1% 증가했습니다. 명목 성장률은 외환위기 때인 1998년(-0.9%) 이후 21년 만에 가장 낮았습니다.

총저축률은 1.3%포인트 내린 34.7%입니다. 2012년(34.5%) 이후 가장 낮습니다.

박양수 한은 경제통계국장은 "지난해 총저축은 최초로 감소했는데, 이는 정부 부문의 총저축이 -14.2%로 많이 감소한 데 따른 것"이라며 "경기 둔화에 따른 세수 위축 영향으로 정부 소득 증가세가 2018년 7.6%에서 지난해 0.6%로 크게 둔화한 상황에서 정부가 경기 활성화 차원에서 소비지출은 계속 높은 수준을 유지한 결과"라고 설명했습니다.

가계에 봉사하는 비영리단체를 포함한 가계순저축률은 6.0%로, 0.2%포인트 하락했습니다.

국내총투자율은 0.3%포인트 내린 31.2%입니다.

명목 GDP를 실질 GDP로 나눈 값인 GDP 디플레이터는 0.9% 하락했습니다. 1999년(-1.2%) 이후 20년 만에 가장 큰 하락 폭이었습니다.

박 국장은 "내수 디플레이터가 소비자물가 상승세 둔화로 1.6%에서 1.3%로 낮아진 가운데 수출 디플레이터가 반도체, 액정표시장치(LCD) 등을 중심으로 1.3%에서 -4.8%로 큰 폭으로 하락 전환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노동소득분배율은 65.5%로, 2.0%포인트 올랐습니다. 한은이 통계를 집계하기 시작한 1953년 이후 가장 높았습니다.

노동소득분배율이란 한 나라에서 한해 생산활동으로 발생한 소득 가운데 자본을 제외한 노동에 배분되는 몫을 말합니다. 급여, 즉 피용자보수를 국민소득(NI·피용자보수와 영업잉여의 합계)으로 나눠 얻습니다.

영업잉여가 통계 공표 이후 처음으로 2년 연속 감소한 가운데 피용자보수 증가율(3.4%)이 국민총소득 증가율(1.6%)을 상회한 데 따른 것이었습니다.

한은은 정부의 소득주도성장(소주성) 정책이 노동소득분배율 상승에 일부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습니다.

박 국장은 "소주성 관련 정책들이 일부 영향 주면서 노동소득분배율의 상승에 영향을 준 건 맞지만, 그 영향이 어느 정도였는지는 말하기 어렵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