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코로나 끝난 이후가 더 걱정되는 신흥국리스크
입력 2020-05-31 13:16 

코로나19가 신흥국에 급격히 퍼지며 신흥국 경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신흥국들은 고강도 봉쇄를 장기화했던 수요가 빠르게 반등할 경우 재화·농산물 등을 제때 공급하지 못해 물가불안이 일어날 수 있다는 것이다.
또 선진국 중앙은행이 경기부양을 위해 공급했던 대규모 유동성을 회수하면서 신흥국을 중심으로 '금융불안(테이퍼 텐트럼)'이 일어날 가능성도 제기됐다.
31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인도, 브라질, 러시아 등 주요 11개 신흥국의 일별 신규확진자수는 3월31일 6000명에서 5월15일 82만명으로 크게 증가했다.
이에 따라 신흥국들은 내수 및 생산 활동이 크게 위축됐다. 신흥국은 선진국보다 보건여건이 취약해 이동 제한 등 보다 강력한 봉쇄조치에 나설 수밖에 없다는 것이 한국은행의 설명이다. 이 때 각국이 식량안보를 강화하게 되면 신흥국의 어려움이 상대적으로 더 커질 수 있다고 한은은 진단했다. 농산물의 경우 봉쇄조치 등에 따른 생산량 감소가 현실화되면 가격변동성 확대와 함께 물가불안의 주요 요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재화, 서비스 역시 코로나19 진정후 빠르게 반등하는 수요를 따라잡지 못해 수급불균형으로 인한 물가불안이 나타날 수 있다.
자원수출국의 경우 원유 및 원자재 가격이 떨어지며 경제 위축이 더 가속화됐다. 그 결과 지난 4월 IMF는 1951년 통계작성 이후 처음으로 전체 신흥국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1%)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규모가 큰 브라질(-5.3%), 러시아(-5.5%), 멕시코(-6.6%), 터키(-5%) 등 주요 신흥국 경제성장률도 큰 폭의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신흥국에서 코로나19가 장기화될 경우 기업 도산과 대량 실업 등 성장 잠재기반이 크게 훼손될 위험이 있다. 대다수 신흥국은 산업 보호와 취약계층 지원을 위한 보조금 지급 여력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코로나19 대응과정에서 대외건전성이 악화될 우려도 크다. 신흥국은 기초 경제여건이 부실하고 기업들의 채무부담도 이미 확대된 상태다. 신용평가기관 무디스(Moody's)는 내년 3월까지 신흥국 내 투기등급 회사채의 디폴트 비율이 8.3%(최대 13.7%)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코로나19 종식 이후 미연준 등 선진국 중앙은행들이 유동성을 회수하는 과정에서 신흥국의 금융 불안을 야기할 가능성도 제기됐다. 한은 관계자는 "글로벌 금융위기 때도 주가급락 등 금융불안이 발생했고 유럽재정위기도 2009년 말에 연이어 시작됐다"고 설명했다.
[김형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