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셀트리온제약 "HIV 치료제 CT-G7 생산 확대" 국제 조달 시장 공략
입력 2020-05-22 09:37  | 수정 2020-05-22 09:53
셀트리온제약 청주공장 전경 / 사진=셀트리온제약

셀트리온제약이 HIV 치료제 'CT-G7' 생산 확대를 결정했습니다. CT-G7은 최근 미국 식품의약국(FDA)으로부터 잠정 승인을 받은 제품입니다.

이번 생산 확대 결정은 국제 시장 공급 물량을 선점하기 위한 행보로 보입니다. 코로나19 확산으로 글로벌 케미컬 의약품 주요 공급처인 인도에 봉쇄령(Lock-down)이 내려지면서 경쟁사들의 공장 가동률이 30%대로 낮아진 지금, 셀트리온제약이 국제 의약품 공급 시장을 적극 공략하겠다는 뜻입니다.

CT-G7은 시장에서 선호도가 높은 3개 성분을 복합한 개량신약으로 셀트리온제약이 자체 개발했습니다. FDA는 올해 초 셀트리온제약 청주공장에 대한 실사를 하고 지난달 CT-G7의 잠정 승인을 내줬습니다. 셀트리온제약은 CT-G7의 상업화 초기에 연간 1200억원 정도의 매출을 달성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클린턴 의료재단(CHAI)이 집계한 작년 해당 시장 규모 약 1조2000억원의 10% 가량입니다. 이후 시장 점유율을 20%까지 확대한다는 목표로 아프리카와 개발도상국 등 HIV 환자 치료를 위한 국제 조달 시장을 적극 공략할 계획입니다.


또 최근 코로나19의 전세계적 확산으로 주요 조달 기관들은 HIV 환자들을 위한 치료제 공급 안전성 확보에 주력하고 있어 셀트리온제약의 시장 선점 전략에 더욱 힘이 실릴 전망입니다.

이에 셀트리온제약은 청주공장에 CT-G7 전용 생산라인을 구축하고 제품 생산에 필요한 인력을 대폭 충원해 24시간 체제로 공장을 가동할 계획입니다. 특히 셀트리온제약은 상반기 중으로 연구 및 생산 인력의 15%를 증원해 청주 및 진천공장에 신규인력을 배치하고, CT-G7 및 기타 케미컬 제품의 글로벌 생산 확대에 나섭니다.

셀트리온제약 관계자는 "CT-G7을 통해 아프리카와 개발도상국 등을 타깃으로 하는 글로벌 조달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코로나19로 침체된 채용시장에도 활력을 불어넣을 것"이라며 "향후 셀트리온그룹의 신성장 동력으로 케미컬 사업을 더욱 강화해 바이오와 케미컬 사업을 아우르는 글로벌 생명 공학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