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후원금으로 땅 사고…나눔의 집 논란도 확산
입력 2020-05-22 07:00  | 수정 2020-05-22 07:25
【 앵커멘트 】
위안부 피해 할머니 지원 시설인 경기도 광주시 '나눔의 집'도 후원금 논란이 계속되고 있죠.
후원금은 자산취득비로 사용할 수 없는데도 토지를 약 6억 원어치 사들이는가 하면, 5억 원을 쓴 증축 공사비용도 주무관청의 승인을 받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습니다.
김민수 기자가 보도합니다.


【 기자 】
나눔의 집이 공개한 수입과 지출 내역입니다.

지난 1분기에는 8억 2천만 원이 들어와 7,600만 원을 써서 7억 4,400만 원이 남았습니다.

지난 2017년부터 3년간 수입은 78억 원인 데 비해 지출은 39억 원으로 연간 13억 원꼴로 쌓아놨습니다.

대부분 후원금으로 구성된 수입을 그동안 절반도 안 쓴 셈입니다.


그나마 사용한 돈마저 후원자의 동의도 받지 않은 채 토지 매입이나 생활관 증축 자금으로 11억 원을 사용됐습니다.

내부 직원들은 후원금이 위안부 피해 할머니를 위해 쓰인 적이 없다고 주장했습니다.

나눔의 집이 토지를 매입하고 생활관을 증축하려는 목적도 요양원과 같은 수익사업에 있다는 의혹이 나옵니다.

이에 대해 나눔의 집 측은 "법규를 숙지하지 못해 빚어진 실수"라고 해명하고 있습니다.

이와 관련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자신의 SNS를 통해 나눔의 집이 후원금을 시설 공사나 토지 취득에 부적절하게 쓰였다고 지적했습니다.

경기도는 수사팀을 꾸려 나눔의 집이 그동안 후원금을 어떤 식으로 써왔는지 밝힐 계획입니다.

MBN뉴스 김민수입니다.
[ smiledream@mbn.co.kr ]

영상취재 : 김진성 기자·엄태준 VJ
영상편집 : 이주호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