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소상공인 10명 中 6명, "코로나19 정부 지원 활용 못 해"
입력 2020-05-17 14:48  | 수정 2020-05-17 15:38
소상공인 지원책 미활용 이유 / 사진=중기중앙회 제공

소상공인 10명 중 6명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정부 지원을 여전히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8일까지 소상공인 업체 500곳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관련 소상공인 정책과제를 조사한 결과 응답자의 61.4%가 이같이 답했다고 17일 밝혔습니다.

활용하지 않은 이유로는 지원책이 있다는 사실을 알지 못한다는 답변(44.3%)이 많았고, 신청 방법 및 서류 작성이 까다로움(24.8%), 지원 요건에 미달해 거절당함(8.5%)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지원기관 이용자가 많아 상담 기회를 얻지 못했다는 응답은 2.9%로 상대적으로 낮은 수준에 그쳤습니다.


정부 지원 사업을 활용한 소상공인은 38.6%였으며, ▲노란우산공제(32.2%) ▲제로페이(6.6%) ▲일반경영안정자금(3.2%) 순으로 활용도가 높게 나타났습니다.

소상공인들은 가장 효과적인 지원책으로 대출·보증 지원 확대(40.0%)를 꼽았습니다.

이어 ▲임대료 인하 시 세액공제(23.2%) ▲신용·체크카드 소득공제율 확대(14.4%) ▲고용유지지원금 확대(12.4%) ▲간이과세자 범위 확대(8.2%) 등도 소상공인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조사됐습니다.

향후 중점적으로 추진해야 할 소상공인 정책 방향에 대해선 신용·체크카드 소득공제 확대 등 소비촉진 지원책 확대가 43.4%로 가장 많았습니다.

이밖에 세금 투입을 통한 한계기업 지원 확대(35.2%), 대기업의 소상공인 영역 진출을 제한하는 규제 및 감독 강화(9.2%) 등의 응답도 나왔습니다.

추문갑 중기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코로나19 사태 장기화에 대비해 상황 변화에 맞는 적절한 대처가 필요한 상황"이라며 "중기중앙회도 민생 경제 회복을 위한 캠페인을 추진하는 등 내수 살리기에 노력하겠다"고 밝혔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