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빈곤의 온상 1인가구…저학력자·미취업자일수록 비중 높아
입력 2020-05-14 14:45 

1인가구가 늘어날수록 국민의 분배는 악화되고, 빈곤율도 상승한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인가구를 지원하는 정책도 필요하지만, 주거정책과 일자리정책을 통해 1인가구 비율을 낮춰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4일 한국경제연구원은 한국노동패널 최신자료를 분석한 결과, 1인가구가 10% 증가할 때 지니계수는 1.7% 상승하고, 빈곤율은 3.6% 뛰었다고 밝혔다.
지니계수는 0에 가까울수록 완전 평등한 분배를, 1에 가까울수록 완전 불평등한 분배를 의미한다. 1인가구가 증가할수록 분배가 악화된다는 의미다. 빈곤율은 전체 인구 중 빈곤에 처한 인구 비율을 나타낸다.
상대적으로 부유하지 않은 조건일수록, 취업하지 않을수록, 교육수준이 상대적으로 낮을수록 1인가구일 확률이 더 높았다. 미취업 가구주의 경우 1인가구 비율이 35.9%에 달했으나, 취업가구에서는 21.5%에 그쳤다. 취업가구주를 분석한 경우에도 임시직 가구주가 1인가구인 경우가 34.8%로 많았다.
자가 보유자 중에는 1인가구 비율이 13.4%에 그쳤지만, 월세를 내는 경우는 48.2%였으며 무상주택이나 무상사택에 거주하는 경우는 60.7%에 달했다. 한경연 관계자는 "취업 여부와 일자리 성격, 거주 성격에 따라 1인가구 비중이 크게 달랐다"고 설명했다.
교육수준도 1인가구 비중에 영향을 줬다. 중졸 이하 가구주 중 1인가구 비중은 38.6%였던 반면, 대학원졸 이상의 1인가구 비중은 19.7%에 불과해 두 배 가까운 차이를 보였다. 성별로 봤을 때는 남성(14.7%)에 비해 여성(57.4%)이 1인가구 비중이 높았다.
한경연은 이 같은 결과를 두고 재중심 영향함수 회귀분석을 진행한 결과, 1인가구가 늘면 지니계수가 악화하고 빈곤율은 오른다는 결과를 도출했다. 한경연 관계자는 "1인 가구를 배려하는 정책도 필요하지만 1인가구를 다인가구로 전환하기 위한 정책도 필요하다"며 "주거 안정 정책과 일자리 정책을 통해 다인가구로 편입을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민근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