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서울 아파트값 하락 2주 연속 둔화…일부 호가 뛰자 매수 '주춤'
입력 2020-05-14 14:03  | 수정 2020-05-21 14:05
최근 강남권 아파트의 일부 급매물이 소화되고 호가가 오르면서 서울 아파트값 하락폭이 2주 연속 둔화했습니다.

다만 가격 상승 이후 매도·매수자간 눈치보기 장세가 이어지며 추격 매수세는 주춤한 분위기입니다.


한국감정원은 이번주 서울 아파트값이 0.04% 떨어져 지난주(-0.06%)보다 하락폭이 둔화했다고 오늘(14일) 밝혔습니다.

서울 아파트값은 7주 연속 하락세가 이어졌으나 최근 강남권 일부 재건축 단지를 중심으로 급매물이 팔리면서 하락세를 멈추거나 호가가 뛰었습니다.

송파구 잠실 주공5단지 전용 76㎡ 매물은 지난주 18억5천만∼19억원에서 이번주 19억4천만∼19억5천만원으로 5천만∼1억원가량 상승했습니다.

강남구 대치동 은마아파트 전용 76㎡는 18억∼18억5천만원 선입니다.


다만 이달 들어 가격이 다시 뛰면서 추격 매수 문의는 줄었다는 게 현지 중개업소의 설명입니다.

강남 4구(동남권)의 아파트값은 0.12% 떨어져 지난주(-0.17%)보다 낙폭이 줄었습니다.

지난주 0.23% 내렸던 강남구는 이번주 0.15% 하락했고, 지난주 0.24% 떨어졌던 서초구는 0.16% 하락했습니다.

5·6수도권 공급대책 이후 매물 회수 조짐을 보인 용산구는 정부가 정비창 일대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기로 한 가운데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06% 하락했습니다.

'노도강' 지역의 아파트값도 일제히 약세입니다. 강북구가 이번주 0.01% 떨어지면서 지난해 6월 말(-0.01%) 이후 약 11개월 만에 하락 전환했고 노원구와 도봉구는 나란히 0.02% 내렸습니다.

경기도의 아파트값은 지난주와 마찬가지로 0.10% 상승했습니다.

수원의 경우 지난주 0.10%에서 0.08%로 상승폭이 줄었고 과천(-0.05%), 하남(-0.02%)도 약세가 이어졌습니다.

그러나 남양주(0.27%)와 구리시(0.38%) 등은 광역급행철도(GTX) 건설 등 교통망 확충에 대한 기대감으로 지난주보다 상승폭이 커졌습니다.

인천은 지난주 0.11%에서 금주 0.12%로 오름폭이 소폭 확대됐습니다.

미추홀구(0.28%), 남동구(0.18%) 등이 강세를 보였고 중구(-0.04%)는 항만 경기 위축 등으로 수요가 감소하며 하락 전환했습니다.

지방 아파트값은 지난주 보합에서 금주 0.02% 상승 전환했습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약세가 이어지던 대구가 하락세를 멈췄고 대전시는 서구(0.26%)와 대덕구(0.23%) 등의 강세로 지난주 0.08%에서 0.15%로 오름폭이 커졌습니다.

전셋값은 서울이 0.02%, 경기도가 0.08%, 인천이 0.12% 각각 올랐습니다.

정비사업 이주단지 인근, 역세권 아파트 중심으로 일부 국지적 상승이 있었으나 신규 입주 물량과 계절적 비수기 등으로 대체로 안정세가 이어졌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