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韓中정상, 전화통화 갖고 코로나19 위기극복 협력방안 논의
입력 2020-05-13 21:54  | 수정 2020-05-20 22:07

문재인 대통령은 13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전화통화를 갖고 코로나19발(發) 경제 충격 극복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청와대는 오후 9시부터 34분 간 이어진 이날 통화가 시 주석의 요청으로 이뤄졌다고 밝혔다. 양 정상이 코로나19 사태 이후 통화한 것은 두 번 째로 지난 2월 20일 이후 83일만이다. 문 대통령과 시 주석은 지난 3월 26일 열린 G20(주요 20개국) 특별화상정상회의에서는 영상을 통해 인사를 나눴다. 이번 통화는 코로나19에 대한 책임론과 1단계 무역합의 이행 등을 둘러싼 미·중 갈등이 격화되는 가운데 진행돼 관심을 모았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서면브리핑을 통해 "양 정상은 통화에서 자국 내 코로나19 대응 상황을 각각 설명하면서 양국 간 방역 협력이 효과적으로 이뤄지고 있는 점을 평가했다"고 밝혔다. 강 대변인은 "한·중 당국이 양국 기업인들의 필수적인 활동 보장을 위한 '신속통로(입국절차 간소화)' 제도 신설을 한 것은 대표적인 협력의 모범사례라는 데 인식을 같이했다"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 한·중은 지난 1일부터 양국 기업인이 출국을 전후해 코로나19 검사에서 음성 판정을 받을 경우 14일 간의 의무격리를 면제하는 신속통로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이는 코로나19 사태로 세계 각국이 외국인 입국 제한·금지에 나선 가운데 상호 간 예외적 입국을 제도화한 첫 사례로 주목받고 있다.

최근 한국 기업인 200여 명이 이 제도를 활용해 중국에 입국, 이날부터 현지에서 출근했다고 강 대변인은 설명했다. 싱하이밍 주한 중국대사는 지난 10일 인천국제공항에서 열린 한중 신속통로 제도 관련 간담회에서 "양국이 협력을 통해 전 세계에 '이렇게 하고 있구나', '이렇게 해야 한다'를 보여주는 데 의의가 깊다"고 말한 바 있다. 당시 싱 대사는 "이번에 신속통로를 시작하게 된 것은 양국 정상 간 협력에서 비롯됐다"고 밝혔다.
앞서 시 주석은 지난 3월 13일 문 대통령에게 전문을 보내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한국과의 연대감과 협력의지을 밝혔다. 당시 시 주석은 전문에서 '한·중 관계를 고도로 중시한다'는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이에 문 대통령도 이틀 뒤인 3월 15일 답전을 보내 감사를 표시했다.
[김성훈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