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특조위 "靑, 세월호 참사 9시 19분보다 더 일찍 알았다"
입력 2020-05-13 14:45 
[사진 = 연합뉴스]

세월호 참사 당일 청와대가 사건을 인지한 시간이 당초 알려진 때보다 이르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13일 사회적참사 특별조사위원회는 서울 중구 포스트타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현재까지 알려진 청와대의 참사 최초 인지·전파 시각이 객관적 자료와 일치하지 않는 등 관련 혐의를 확인해 검찰에 수사요청하기로 했다"고 했다.
당초 박근혜정부 청와대는 참사 당일 오전 9시 19분 뉴스 속보에서 사고를 최초 인지하고, 9시 24분께 이를 청와대 내부에 전파한 이후 대통령 보고, 초동조치 등을 수행했다고 밝혔다. 그러나 특조위가 입수한 자료에서는 청와대 위기관리센터가 9시 19분 국가안보실 전원과 정무·국정기획수석 등 총 135명에게 상황을 전파하는 문자메시지를 발송했음이 확인됐다. 특조위는 "관련자 진술과 메시지에 기재된 탑승인원(474명)을 확인하는데 소요되는 시간 등을 고려하면 최초 상황 인지 후 메시지 발신까지는 10분 정도가 소요됐을 것으로 판단된다"며 "위기관리센터가 오전 9시 10분 전후로 참사 발생을 충분히 인지했을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이에따라 특조위는 김기춘 전 대통령 비서실장과 김규현 전 국가안보실 1차장 등 4명이 참사 인지 경위와 시각을 허위로 기재한 자료를 작성하고 국회 등에 제출했다고 보고 허위공문서 작성 및 동행사 혐의로 검찰 수사를 요청키로 했다.

2017년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심판의 증인으로 출석해 같은 주장을 펼친 김 전 1차장에겐 위증 혐의도 추가했다.
문호승 특조위 상임위원은 "김 전 비서실장 등 수사요청 대상자는 기발표된 시각 이전에 사고를 인지했음을 인정하면 긴박한 상황에서 신속한 대응을 하지 못했다는 비판이 거세질 것을 우려했던 것으로 보인다"며 "304명의 죽음이라는 엄청난 피해를 책임지기보다 회피에 급급했고, 참사 진상규명 또한 방해한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조성호 기자 / 김금이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