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정부 "55만개+α 직접일자리 신속공급 논의"
입력 2020-05-13 08:45  | 수정 2020-05-20 09:05

정부는 오늘(13일) 홍남기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주재로 정부서울청사에서 관계부처 장관들이 참석한 '녹실회의'를 열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의 고용시장 영향을 점검했습니다.

회의에는 이재갑 고용노동부 장관, 구윤철 국무조정실장, 강신욱 통계청장, 이호승 청와대 경제수석, 황덕순 청와대 일자리수석 등이 참석했습니다.

참석자들은 고용시장과 관련해 코로나19 영향이 집중된 대면 서비스업 분야가 더 어려워진 가운데 수출 부진 등으로 제조업 등에서도 충격이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고 판단했습니다.

이날 통계청이 발표한 4월 고용동향을 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1년 전보다 47만6천명 감소했습니다. 이는 외환위기의 영향이 미쳤던 1999년 2월(65만8천명) 이래 최대 감소폭입니다.


참석자들은 3월에 이어 취업자가 두 달 연속 감소하고 그 폭도 크게 확대된 상황을 매우 엄중히 인식하며 우리 고용시장에서도 코로나19 충격이 본격화되고 있다는 점을 확인했습니다.

특히 크게 영향이 나타난 임시·일용직, 자영업자를 중심으로 고용시장의 어려움을 대처해야 한다는 데 한목소리를 냈습니다.

정부는 취약계층 일자리 지원을 위해 오는 내일(14일)과 21일 열리는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55만개+α 직접일자리 신속 공급방안' 등을 집중 논의할 계획입니다.

특히 제조업 등 기간산업 고용 충격이 확산하지 않도록 기간산업안정기금 등을 통해 선제적으로 대응하고, 추가적인 고용시장 안정 방안도 지속해서 강구해 나갈 계획입니다.

참석자들은 고용시장 충격에 따른 민생의 어려움을 조속히 덜 수 있도록 모든 정책역량을 총동원해 진력하는 동시에 3차 추가경정예산(추경)안의 조속한 국회 제출과 국회 확정 뒤 신속한 집행 준비에 만전을 기하기로 했습니다.

녹실회의란 박정희 대통령 시절 장기영 전 경제부총리가 취임하면서 진행했던 회의에서 유래했습니다. 당시 경제부총리가 관계 부처 장관을 비공개로 불러 경제 현안을 조정하곤 했는데, 회의장소였던 서울 세종로 경제기획원 3층 부총리 집무실 옆 소회의실의 카펫과 응접실 가구가 모두 녹색이어서 녹실회의로 불리게 됐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