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후원금 논란' 정의기억연대, 오늘 수요시위는 예정대로 개최
입력 2020-05-13 07:26  | 수정 2020-05-20 08:05

'일본군 성노예제 문제 해결을 위한 정의기억연대'(이하 정의연)에 대한 후원금 회계 관련 의혹이 연일 제기되는 가운데, 일본군위안부 문제 해결을 촉구하는 수요시위가 오늘(13일)도 예정대로 열립니다.

정의연은 이날 정오 서울 종로구 옛 주한 일본대사관 앞에서 '1천439차 정기 온라인 수요시위'를 한국여성단체연합 주관으로 개최한다고 밝혔습니다.

정의연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예방을 위해 올해 2월부터 수요시위를 온라인으로 전환했습니다. 일부 활동가들만 성명서를 낭독하고 구호를 외치도록 하되 온라인으로 이 모습을 생중계하는 방식입니다.

일본군위안부 피해자 이용수 할머니는 1992년 1월부터 28년 넘게 이어진 수요시위를 주도한 정의연·한국정신대문제대책협의회(정대협)과 초기부터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협력했습니다.


그러나 이 할머니는 지난 7일 대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정의연이 성노예제 피해자 할머니들을 위해 후원금을 쓰지 않고 있다", "수요집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주장을 펴 파문이 일었습니다.

이에 정의연은 그제(11일) 서울 마포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간 목적을 지정해 기부한 금액을 제외한 일반 기부 수입 총 22억1천900여만 원 중 41%에 해당하는 9억1천100여만 원을 피해자지원사업비로 집행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정의연이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2015년 한일 합의 당시 일본 정부가 화해·치유재단을 통해 지급하기로 한 10억 엔을 받지 못하도록 했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화해·치유재단 기금의 수령 여부는 전적으로 할머니들이 결정하게끔 했다"고 해명했습니다.

기자회견 이후에도 일부 언론은 과거 정의연이 국세청을 통해 공시한 회계 내역 등을 토대로 회계 처리와 관련한 추가 의혹을 제기했습니다.

이에 정의연은 전날 입장문을 내고 "위안부의 역사적 진실을 부정하는 국내외 세력과 2015년 한일 합의 주역들인 적폐 세력이 사태의 본질을 호도하며, 인권운동 전체를 탄압하고 있다"고 비판했습니다.

이날 수요시위에는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 한경희 사무총장을 비롯한 활동가들이 참석합니다.

정의연 관계자는 "최근 논란과 관련된 발언이 자연스럽게 나올 것으로 보이지만, 평소처럼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습니다.

한편 반일동상진실규명공대위·위안부회복실천연대 등 보수 성향 단체들은 같은 시각 주변에서 '맞불 집회'를 열겠다고 예고한 상태입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