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정의연 "3년간 기부수입 22억 중 41% 피해자 지원"
입력 2020-05-11 13:50  | 수정 2020-05-25 14:37

후원금을 위안부 피해 할머니들에게 제대로 쓰지 않았다는 논란에 휩싸인 정의기억연대(정의연)가 "후원금을 전달하는 것만이 피해자 지원사업은 아니다"라며 기금 운용에 문제가 없었다고 해명했다.
앞서 일본군 위안부 피해자 이용수(92) 할머니는 지난 7일 대구에서 열린 기자회견을 통해 "정의연이 성금·기금을 받아 할머니들에게 쓴 적이 없다", "성금을 어디에 쓰는지도 모른다"고 주장한 바 있다.
11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성산동 '인권재단 사람'에서 열린 정의연 기자회견 시작에 앞서 이나영 정의연 이사장은 "지난 30년간 이 운동을 같이 해오며 가족같이 지내셨던 할머님의 서운함, 불안감, 분노를 겸허히 받아들인다"며 "할머니께 원치 않은 마음의 상처를 드려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는 말씀을 드리겠다"고 말한 뒤 허리를 숙여 인사했다.
정의연 측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3년간 기부수입 총 22억1900여만원 중 41%에 해당하는 9억1100여만원을 피해자지원사업비로 집행했다고 설명했다.

이 액수에는 2017년 100만 시민모금을 통해 모금한 7억여원에 일반 후원금을 더해 조성한 8억 원을 총 8명의 할머니들에게 여성인권상금으로 지급한 것도 포함돼 있다.
한 사무총장은 "피해자 지원사업은 건강치료지원, 인권·명예회복 활동 지원, 정기방문, 외출동행, 정서적 안정 지원, 쉼터 운영 등으로 수행되고 있다"며 "이같은 비용은 뒤따르는 인건비를 포함하지 않은 비용이다. 공시에 나와 있는 피해자지원 사업 예산만으로 저희의 피해자 지원사업을 판단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설명했다.
이밖에 정의연은 지난해 수요집회를 통해 모금한 금액은 약 460만원으로, 전액 수요시위 진행에 사용했다고 밝혔다. 수요시위 진행비는 연간 1억1000여만원 가량이라고도 설명했다.
또 공시한 기부금 사용 내역 중 '피해자 지원사업' 항목의 수혜자 수가 '99명', '999명'등으로 기재돼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데이터가 깔끔하게 처리되지 못한 부분에 대해서는 사과드리고, 실무적으로 미진한 부분을 고쳐 나가겠다"고 밝혔다.
정의연은 위안부 피해자들에게 2015년 한·일 합의 당시 일본 정부가 화해·치유재단을 통해 지급하기로 한 10억 엔을 받지 못하도록 했다는 의혹에 대해 이상희 정의연 이사는 "화해·치유재단 기금의 수령 여부는 전적으로 할머니들이 결정하게끔 했다. 할머니들을 일일이 방문해 의사를 확인했다"며 "할머니들에게 위로금을 수령하지 못하게 했다고 하는 것은 사실무근"이라고 일축했다.
이어 "지난 30년간 피해자와 활동가들이 일궈낸 세계사적 인권운동사를 이런 식으로 훼손할 수 있을까"라며 "아무도 문제제기를 하지 않을 때 용감한 피해자와 헌신적인 활동가·연구자들이 이 운동을 만들어왔다. 그런데 여러분이 그 역사를 알고 있는지 솔직히 의구심이 들었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