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트럼프 사위가 꾸린 자원봉사팀이 코로나19 의료공급 악화"
입력 2020-05-07 09:21  | 수정 2020-05-14 10:05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사위인 재러드 쿠슈너 백악관 선임보좌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이후 병원 물자 공급 등 임무에 관여했지만 오히려 문제를 악화시켰다고 워싱턴포스트(WP)와 뉴욕타임스(NYT)가 보도했습니다.


쿠슈너 보좌관이 컨설팅 업체나 사모펀드 회사 출신의 대부분 20대인 자원봉사팀을 꾸려 해당 업무를 맡겼지만 이들은 이 분야의 전문 지식이 많지 않았던 데다 업무도 원활하지 못했다는 것입니다.

이들 자원봉사자는 보스턴컨설팅그룹, 매킨지 등에 근무하는 20여명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코로나19 대응을 돕기 위해 유급 내지 무급 휴가를 내고 자원봉사에 나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개인보호장비(PPE) 조달을 담당한 팀은 약 1천개의 보호장비 중에 가장 좋은 것을 골라내 연방재난관리청(FEMA)이 조달에 필요한 최종 승인을 하도록 돕는 역할을 맡았습니다.

그러나 한 자원봉사자는 지난달 하원 정부감독개혁위에 제출한 고발장에서 이 팀은 의료나 조달에 관한 경험이 없어 정부를 돕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못했다고 주장하기까지 했습니다.


PPE 조달은 병원이 필요로 하는 장비의 서로 다른 유형에 관한 지식과 제조업체를 다루는 경험, 식품의약국(FDA)이 승인한 마스크 종류에 대한 이해 등 전문성이 필요한 업무라는 것입니다.

이렇다 보니 이 팀은 실리콘밸리의 한 엔지니어가 1천개의 인공호흡기를 제공할 수 있다는 제안을 뉴욕 당국자에게 전달해 계약까지 이뤄졌지만 실제로 단 한 1개의 인공호흡기도 받지 못한 일이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쿠슈너 보좌관은 차량이동형(드라이브 스루) 검사소를 전국에 설치하는 업무도 관여했는데, 쿠슈너는 애초 수천개의 검사소를 약속했지만 실제로는 78개만 구체화하는 데 성공했다고 WP는 전했습니다.

더욱이 자원봉사팀은 트럼프 대통령의 측근, 보수 언론인 등을 포함한 'VIP'의 주문을 우선하라는 말도 들었습니다. 일례로 폭스뉴스의 한 진행자는 뉴욕의 특정 병원이 더 많은 마스크를 받을 수 있도록 로비했다고 합니다.

또한 PPE 담당 자원봉사자들은 정부 공식 이메일보다는 개인 이메일 계정을 사용해 제조업체나 중개업체와 관계를 발전시키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고 WP는 지적했습니다.

FEMA 전·현직 관리들은 NYT에 주 정부가 의료 자원 확보를 위해 경쟁하고 입원 건수가 늘어나는 시점에 결과적으로 PPE를 확보할 기회를 잃도록 했다고 평가했습니다.

한 시민단체 관계자는 이들 자원봉사자가 특별공무원으로 분류됐어야 하고 이들이 법을 따랐는지 알 수 없다며 이런 인사 배치는 무수한 우려를 낳는다고 지적했습니다.

반면 2명의 행정부 고위 당국자는 자원봉사자들이 적합한 배경과 경험을 갖추고 있고 제조업체들과 별다른 어려움이 없었을 뿐만 아니라 최종 결정권을 갖고 있던 것도 아니라고 반박했다고 WP는 전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