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김태년 "통합 리더십" 전해철 "당정청 강화" 정성호 "야당 설득"
입력 2020-05-06 15:23  | 수정 2020-05-13 16:05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경선에 출마한 김태년·전해철·정성호(기호 순) 의원은 오늘(6일) 초선 당선자들의 국회 상임위원회 배정을 우선적으로 고려하겠다며 일제히 '초선 표심'을 공략했습니다.

세 후보는 경선을 하루 앞둔 이날 국회에서 초선 당선인들을 대상으로 열린 원내대표 후보자 합동토론회에서 180석의 '슈퍼 여당'을 이끌 청사진을 공개하며 지지를 호소했습니다.

김태년 의원은 "그동안 우리는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한 당정청 지도자들의 안정적인 리더십과 '원팀'의 통합된 단결력을 바탕으로 큰 성과를 거뒀다"며 "이를 이어받은 '통합 리더십'으로 당을 안정적으로 운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김 의원은 "열린우리당 시절의 과오를 다시는 반복해서는 안된다"며 "관계정치, 계파정치는 다시는 당에 있어서는 안된다. 일의 순서를 잘못 잡아 우왕좌왕했던 과오도 다시 범해서는 안된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경제위기 극복이 곧 문재인 정부의 성공이다. 집권4년차가 아니라 새로 집권했다는 절박한 마음가짐으로 당정청의 역량을 극대화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전해철 의원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경제위기 극복과 신뢰를 기반으로 하는 당정청 협력 강화, 일하는 국회로 개혁·민생입법 성과 도출, 의회와 정책 중심의 시스템을 확립하겠다"며 "결론은 일을 하겠다는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전 의원은 "국회가 제대로 일할 수 있도록 효율성을 담보할 제도적 개선을 추진하겠다"며 상시 운영 국회체제와 국회 내 비상경제특위 설치 등을 제안했습니다.

전 의원은 "이제는 야당 핑계를 댈 수 없다"며 "청와대를 받쳐주기도 하고, 정부를 견인하기도 하는 역할을 당이 주도적으로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대화와 타협도 필요하다. 야당 설득을 게을리 않겠다"고도 했습니다.

정성호 의원은 "20대 국회 민생입법이 어느정도 성과를 냈나 자문해야 한다"며 "열린우리당 트라우마로 (의원들이) 개인 생각을 자제하고 대통령 의견을 따라 최선을 다해왔지만, 더 진정성 있게 (야당을) 끌어내는 것은 여당 책임"이라고 했습니다.

그는 "우리가 180석을 얻었지만, 패스트트랙(신속처리안건)에 올리는 것은 최후의 수단"이라며 "이를 수단으로 개헌 협상을 잘 이끌어내고, 야당을 협상 테이블로 이끌어내야 한다. 민생 위기 대처의 절박함으로 야당을 설득해야 한다"고 했습니다.

'친문' 그룹으로 분류되는 김태년·전해철 의원과 달리 계파색이 옅은 정 의원은 "(지방선거 때) 이재명을 도운 죄가 있지만, 비문(비문재인), 반문(반문재인)은 아니다"라며 "당을 하나로 묶어 당정청 관계를 원만하게 해낼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세 후보들은 코로나19 국난극복 방안에 대해서도 저마다의 해법을 제시했습니다.

김 의원은 "신뢰가 있을 때 고통 분담도 가능해진다. 사회적 대타협이 필수적"이라며 "국회가 중심이 돼 대타협을 만들어내는 원내대표가 되겠다"고 밝혔습니다.

전 의원은 "3차 추가경정예산(추경)이 30조원 규모로 편성될 것으로 예측되는데, 고용불안을 막기 위한 조치가 우선적이고 선결적으로 돼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

정 의원은 "일하는 국회법을 통과시켜 경제 지원 입법의 신속한 처리를 지원해야 한다"며 "정치권 논의에 그쳐선 안 되고 현장의 목소리를 들어야 한다"고 했습니다.

이들은 '일하는 국회'를 만들기 위한 제도적 개선 방안과 협치 방향에 대해서도 의견을 냈습니다.

김 의원은 "상시국회 제도를 만들고, 법사위의 체계·자구 심사권을 폐지해야 한다"고 제안했습니다. 전 의원은 "국회 회의 개최 의무화에 더해, 신속처리안건 일정도 90일 정도로 단축해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정 의원은 "(일하는 국회법의) 법제화를 해야하지만, 결국은 원만한 여야 관계가 굉장히 중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검찰·언론개혁에 대한 질의도 이어졌습니다.

김 의원은 "검찰개혁 핵심은 수사·기소권의 분리"라며 "언론 개혁은 언론 종사자들의 개혁 의지가 중요하다. 제도적 장치가 필요하면 만들어야 한다"고 언급했습니다.

전 의원은 "공수처법을 확실히 집행하도록 노력하고, 자치경찰제와 정보경찰 통제방안이 이어져야 한다"며 "언론의 권한 남용 부분이 개혁돼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정 의원은 "공수처법의 후속 조치로 국가·지방경찰, 수사·정보경찰 분리가 이뤄져야 한다"며 "종편의 불공정, 부당한 보도는 적절히 통제돼야 한다"고 지적했습니다.

이날 세 후보의 발언을 지켜본 초선들은 투표 결심을 굳히는 데에 도움이 되었다며 대체로 토론회 내용을 긍정적으로 평가했습니다.

한준호 당선인은 토론회 후 기자들과 만나 "세 후보가 치우치지 않고 소신을 밝히고, 일하는 국회에 초점을 맞춘 점 등이 인상적이었다"며 "토론회를 통해 결정을 굳히게 됐다"고 말했습니다.

이수진 당선인은 "토론 내용이 다 좋았다. 듣다 보니 (누구를 찍을지) 흔들리기 시작하고 있다"며 "언론 개혁 방안에 대해 솔직하게 말해줘 좋았고, 국회의 잘못된 관행을 바꾸겠다고 말씀해주신 분이 굉장히 괜찮았다"고 말했습니다.

고민정 당선인은 "다들 비슷한 듯 하면서도 당정청 부분은 다른 부분도 있었다"며 "오늘 토론회를 보신 분들이 마음의 결정을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