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단독] 中企 복지서비스 대행 서비스 갑작스런 폐쇄에 경찰 수사
입력 2020-05-05 13:23  | 수정 2020-05-12 13:37

"중소기업 전용 복지 서비스를 해준대서 믿었는데 하루아침에 사기를 당하니 한숨만 나옵니다." 한 중소기업에서 복지 담당자로 일하는 A씨는 최근 좌불안석이다. 50명 미만의 직원들이 근무하는 중소기업이라 평소 부족한 복지 서비스를 대행업체를 통해 해결하려고 했지만 최근 그 업체가 돌연 서비스를 중단해버렸기 때문이다. A씨는 "야심 차게 직원들을 위해 해당 업체와 계약을 해서 서비스를 받아 왔는데 날벼락을 맞게 됐다"며 "직원들을 볼 면목도 없고 윗선에선 '돈을 빨리 돌려받아라'고 재촉하니 난처하다"고 밝혔다.
고용노동부 인가를 받은 정식 업체라며 중소기업 수천 곳을 대상으로 복지 서비스를 해주겠다고 접근해 계약금을 받은 중소기업복지지원단, 한국기업복지 등이 올해 초 갑자기 서비스를 중단해 중소기업들이 혼란에 빠졌다. 이 업체는 내부 현장 상담사원들에게 자격증 명목으로 개인당 수백만~수천만 원을 받고 활동비 등을 지급하지 않은 혐의로 수사도 받고 있다.
4일 현재 해당 사건은 서울동부지검과 서울 성동경찰서에서 수사 중이다. 이 업체에서 사업부장, 지원팀장 등으로 활동한 내부자 70여 명이 대표 이 모씨를 세금 탈세, 자격기본법 위반, 사기죄 등 혐의로 동부지검에 고소했고 성동서도 사건을 들여다보는 중이다. 이와는 별도로 수백 곳의 중소기업 피해자도 단체 고소를 준비하고 있다.
경찰 관계자는 "피의자 조사를 했고, 고소인과 주장이 상반되는 부분이 있어 대질조사를 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 업체는 2017년부터 중소기업들에 '토닥토닥 E복지'라는 제휴사만 이용할 수 있는 복지몰 이용 계약을 권유했다. 평소 복지가 부족한 중소기업 직원들에게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저렴한 가격에 이용할 수 있도록 해주겠다는 취지였다.

복지몰 이용 서비스는 1년 갱신 계약을 조건으로 중소기업 직원 1인당 20만원 상당 금액으로 계약이 이뤄졌다고 한다. 20만원을 내면 복지몰에서 40만원 상당의 포인트를 지급해주는데 이 포인트를 통해 건강검진, 여행, 연극, 레저, 도서 등 다양한 복지 서비스를 중소기업 직원들이 이용하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이 회사는 내부 직원들에게 현장 상담 활동을 위해선 기업복지지도사 등 1급 자격증이 필요하다며 지원팀장, 사업부장 등 직급마다 금액을 책정해 돈을 받아온 것으로 알려졌다. 또 지난해 말부터 이 대표는 "경영 상황이 좋지 않다"며 복지몰 서비스를 중단했고 홈페이지도 폐쇄해버렸다. 복지몰 가입 업체는 총 4500여 곳으로 알려졌다. 중소기업 직원마다 서비스 중단에 따른 피해 금액은 다를 것으로 보이는데, 정확한 규모는 아직 알려지지 않고 있다. 50명 이하 소규모 중소기업에서 인사 담당자로 일하는 B씨는 "포인트를 사용하지 못한 지 5개월이 넘는다. 항의 전화를 해도 고객센터는 전화조차 받지 않는다"며 "회사에서 직원들에게 복지를 담당하는 입장에서 속이 상한다"고 말했다. 피해자들에 따르면 중소기업뿐만 아니라 이들에게 복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복지몰에 입점한 업체들도 대금을 받지 못한 사례가 많다고 한다.
해당 업체는 최초 고용부 인가를 받았다며 중소기업들과 중소기업 직원들에게 홍보를 해왔다고 한다. 상호명이 공공기관과 유사해 정부 사업을 대행하는 업체라고 오해한 이들도 많았고 그만큼 별다른 의심을 사지 않았다.
하지만 실상은 달랐다. 한 피해자는 "업체가 제시한 고유번호는 고용부 인가를 받은 다른 곳의 고유번호와 동일했다"며 "고용부가 중소기업복지지원단에 직접 인가를 해준 것처럼 교묘하게 꾸민 것 같다"고 전했다. 민원이 쏟아지자 고용부는 "해당 기관은 우리가 허가를 해준 비영리법인이 아니며 이 단체에서 수행하는 E복지도 정부지원 사업이 아니다"고 선을 그었다.
이 대표는 매일경제와 통화하면서 "저희가 피해를 준 게 맞는다. 시스템 개선이 늦게 됐고 충분한 재원이 있어야 하는데 대면 영업을 하는 조직이다 보니 매출이 급감했다"며 "조만간 공문을 보내 원하는 (피해) 업체에는 환불 접수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또 이 대표는 저는 휘하 사업부장, 지원팀장들에게 우리 회사가 국가, 지자체로부터 예산을 지원받았다고 알린 적이 일절 없다”며 사업부장, 지원팀장들이 신규 고객을 유치할 때마다 받는 수익을 노리고 허위사실인줄 알면서도 그리 홍보한 것이다. 증거 자료도 있다”고 해명했다. 그는 지도사 자격을 따기 위해선 일정한 시험을 보게 되는데 그때 제가 총평을 해놓은 자료가 있다”며 그 자료를 보면 ‘우리 사업비는 고용노동부 등 정부에서 지원받은 것이 아닌데 이와 같이 고객에게 말하면 오해의 여지가 있다라고 쓰여 있는 자료가 명백히 있다”고 전했다.
또 복지몰이 문을 닫은 후 고객들의 항의가 빗발치자 일각에서 나에게 화살을 돌리는 식으로 사건이 진행돼 너무나 억울하다”고 말했다. 이 대표는 피해를 입은 기업들에겐 죄송하며 끝까지 도망가지 않고 사건 수습을 다할 것”이라며 만약 그 과정에서 법적으로 잘못한 사항이 밝혀진다면 달게 책임은 받겠다”고 말했다.
[차창희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