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5월 채권시장도 불안…금리·통화정책 전망 엇갈려
입력 2020-05-05 10:35  | 수정 2020-05-12 11:05

5월 들어 주식시장의 단기적인 조정 가능성이 제기된 가운데 국내 채권시장의 방향 역시 불투명해 투자자들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습니다.

통상 주식시장이 약세를 보이면 채권시장이 강세를 보일 때가 많지만, 지난달 주식시장이 강세를 보인 것이 정책적인 유동성 확대에 기인한 측면이 크기 때문에 앞으로도 금융시장의 흐름이 통화정책의 영향을 크게 받을 것으로 전망됩니다.

오늘(5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채권시장 참가자들은 이달 28일로 예정된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의 통화정책방향 회의를 주시하고 있습니다.

이 회의에서 결정되는 기준금리 인하 여부와 국고채 매입 관련 계획 등에 따라 채권시장 금리가 좌우될 가능성이 크다고 보기 때문입니다.


최근 채권시장에서는 코로나19 여파로 인한 경기 침체 장기화 가능성과 기준금리 추가 인하 기대에 국고채 3∼10년물 금리가 1.0∼1.5%대 수준으로 안정 추세를 보였습니다.

그러나 한편으로는 국채 발행 규모 확대로 인한 공급 부담으로 금리 상승 압박도 작지 않은 상황입니다. 채권시장의 금리와 가격은 반대로 움직이기 때문에 공급 확대로 가격이 내려가면 금리는 오릅니다.

금통위가 기준금리 인하와 대규모 국고채 매입 계획을 발표할 경우 채권 금리는 공급 부담을 떨치고 안정될 수 있지만, 시장의 기대와 달리 기준금리가 동결되고 국고채 매입 규모도 크지 않은 수준이라면 시장 금리는 변동성이 커질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습니다.

◇ 한은 기준금리 더 내릴까

한은의 기준금리 추가 인하 가능성에 관해서는 전망이 엇갈립니다.

경기 부양을 위한 중앙은행의 역할이 커진 만큼 한은이 이달 기준금리 인하를 추가로 단행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지만, 다른 한편에서는 차후 경제 충격이 더 커질 때를 대비해 한은이 금리 인하 카드를 아껴둘 것이란 전망도 나옵니다.

박태근·김지만 삼성증권 연구원은 "저물가 및 성장 충격에 대한 대응이 필요해 보이며 한은의 적극적인 역할이 강조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5월 금통위에서 기준금리 인하가 추가로 단행될 가능성이 작지 않다"고 말했습니다.

이미선 부국증권 연구원도 "한은의 시장 안정 역할론이 부상한 가운데 5월 금통위에서 추가 금리 인하가 전망된다"며 "다만 이번이 마지막 인하가 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가파른 금리 하락을 기대하기는 힘들다"고 내다봤습니다.

반면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5월 기준금리 동결을 전망한다"며 "기준금리가 실효 하한에 근접한 가운데 시장 금리는 안정세를 보여 선제 대응이 절박한 시점은 아니다"라고 진단했습니다.

조 연구원은 "국채 발행 증가로 인한 장기물 금리 상승에는 한은의 국고채 매입이라는 카드가 먼저 활용될 것으로 예상한다"며 "한 차례 추가 인하 여지는 있지만 2차 경제 충격 가능성에 대비해 아껴두는 수순을 예상한다"고 말했습니다.

◇ 한은 국고채 매입은 얼마나

한은의 국고채 매입 규모가 어느 정도로 발표되느냐 역시 채권 금리 움직임에 큰 영향을 줄 것으로 전망됩니다.

정부가 최근 2차 추가경정예산(추경)을 3조 원대의 국채 발행 등으로 충당하기로 하고 3차 추경까지 예고한 데다 40조 원 규모의 기간산업안정기금 채권 발행까지 확정되면서 공급 부담에 대한 시장의 우려가 커진 상황입니다.

김상훈 KB증권 연구원은 "올해 국고채 발행 계획(130조2천억 원)에 현재까지 정해진 1차, 2차 추경 관련 발행금액을 더하고 3차 추경 발행을 9조3천억 원으로 가정하면 총 발행금액은 153조4천억 원으로 지난해(101조7천억 원) 대비 50% 이상 증가한 규모"라며 "한은의 국채 매입에 대한 기대가 커질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윤여삼 메리츠증권 연구원도 "3차 추경이 대규모로 계획되고 있다는 내용과 함께 2차 추경도 적자국채를 발행해 조달할 것으로 발표되자 채권시장 심리가 위축됐다"며 "전체 발행 부담이 늘어나는 만큼 금리 상승 압력이 높아지는 것은 당연하다"고 분석했습니다.

윤 연구원은 "다만 한은이 보유하고 있는 수단을 활용하면 공급 부담이 완화될 수 있다"며 "국내 금리는 현재 수준에서 급등하기보다는 한은의 정책 지원 정도를 판단하며 등락이 있을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