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세계 최초로 시도한 대구시 `코로나19 생활치료센터` 이달 30일 모두 종료
입력 2020-04-28 16:04 
경북대 기숙사에 마련된 생활치료센터에 종사했던 의료진 등이 퇴소자를 축하하며 격려하고 있다. [사진제공 = 대구시]

대구에서 코로나19 경증 환자 치료를 위해 세계 최초로 도입해 운영해 온 생활치료센터가 오는 30일 모두 문을 닫는다.
28일 대구시에 따르면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운영해 온 15곳의 생활치료센터는 이달 30일 '대구중앙교육연수원'과 '영덕 삼성인력개발원' 을 마지막으로 모두 운영이 종료된다. 이는 지난 3월 2일 중앙교육연수원을 센터로 최초 지정한 후 60일만이자 대구에서 첫 확진자가 발생한 지난 2월 18일 이후 73일만이다. 센터 운영 중단은 코로나19 추가 확진자가 대구지역 병상 만으로도 통제 범위 안에 들어왔기 때문이다.
센터는 코로나19 확산 초기 '제2의 중국 우한'을 우려했던 대구 사정을 돌이켜보면 상당히 의미있는 성과를 거뒀다. 코로나19 확산세를 막는데 센터가 결정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평가받고 있어서다.
강원대병원 신경외과 김충효 교수팀이 대한의학회에 게재한 논문에 따르면 구미LG동락원의 입소 환자(309명)를 대상으로 센터 운영 효과를 분석한 결과 환자에 대한 능동적인 관찰과 엄격한 격리, 바이러스 검체 채취 시 낮은 교차 감염 가능성 등으로 의료진 감염 사례는 한 건도 발생하지 않았다. 또 중증 환자에게 의료자원을 효율적으로 분배할 수 있는 유용한 방법이라는 것도 확인됐다. 일본 뉴스통신사인 교도통신도 한국의 생활치료센터를 자세히 소개하며 의료체계 붕괴를 막는데 큰 역할을 했다고 평가했다.

센터는 대구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속히 늘어나자 대구시와 지역 의료계가 정부에 대응 지침 변경을 요청하면서 도입됐다. 급증하는 확진자를 수용할 병상이 없자 무증상이나 경증환자로 인한 추가 확산을 막기 위해 센터 운영을 요청한 것이다. 이로 인해 센터는 중증과 경증 환자를 분리 치료하는데 역할을 하면서 두 달 만에 코로나19를 조기에 안정화 시키는 '방역한류'의 일등 공신이 됐다.
하지만 센터 확보 과정은 녹록치 않았다. 감염병 관리에 필요한 일정수준 이상의 기준을 충족해야 했고 입소자의 자발적 동의가 전제돼야 하는 만큼 입소율을 높이기 위해 편의성과 만족도 고려해야 했다. 이를 위해 대구시와 센터 운영총괄을 맡은 행정안전부, 센터 운영의 핵심인 의료인과 운영비의 전액 지원을 책임진 보건복지부 등 6개 부처로 구성된 '생활치료센터 운영지원단'은 센터 확보를 위해 전국을 밤낮으로 뛰어 다녔다.
특히 생활치료센터 확보를 위해 정세균 국무총리는 17일간 대구에 상주하며 전국에 걸쳐 시설 확보를 위해 진두지휘했다. 이같은 노력으로 타 지자체와 기업, 기관들도 뜻을 같이 하고 손을 맞잡으면서 센터를 최대 15곳까지 운영할 수 있었다.
그동안 15개 센터에는 3025명의 경증 환자가 입소해 현재 2957명이 퇴소했고 완치율 97%를 기록했다. 센터 누적 종사자도 총 1611명으로 이 중 의료진이 701명, 중앙부처와 군 경찰 소방 등에서 478명, 대구시에서 432명의 직원이 교대로 파견 근무를 해왔다.
센터 입소자들 역시 의료진과 종사자들에게 감사 메시지를 전달했고 퇴소하는 이들에게는 의료진 등이 자발적으로 현수막을 걸고 축하를 건네며 코로나19 극복을 위해 함께 마음을 나눴다.
권영진 대구시장은 "생활치료센터 확보는 정세균 국무총리가 전국에 걸쳐 시설 확보를 위해 진두지휘한 결과로 중앙과 지방이 얻어낸 연대의 승리"라며 "생활치료센터가 성공적인 역할을 수행 할 수 있었던 것은 의료진을 포함한 지원인력의 헌신 때문이었다"고 말했다.
[대구 = 우성덕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