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코로나19 전파 규모·속도 줄었지만…근절은 사실상 요원"
입력 2020-04-28 15:41  | 수정 2020-05-05 16:05

국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가 발생한 지 100일째인 28일 방역당국은 코로나19 전파 규모와 속도는 줄었지만 '근절'은 사실상 요원하다고 현 상황을 진단했습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 부본부장은 이날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이같이 진단하고 "아직 첫 번째 산을 넘기도 전이지만, 그 뒤에 또 다른 산들이 기다리고 있다"며 생활 속 거리두기와 조기신고, 철저한 추적조사를 강조했습니다.

그는 "의료진과 국민 한분 한분의 노력으로 코로나19의 폭발적이고도 빠른 전파규모와 속도를 줄이는 데 성과가 있었던 게 사실"이라며 "그러나 코로나19 발생이 지역사회에서 계속되고 있고, 사실상 근절은 요원하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또 코로나19 특성 자체가 무증상 감염이 많고 증상 발현 전에 이미 전파가 일어나는 등 다루기 까다로운 전파 양상을 갖고 있고, 향후 치료제가 나오더라도 내성이 생길 수 있다고 경고했습니다.


권 부본부장은 "사실상 한 사람의 환자가, 증상이 나타나기 전에 그 사람이 전파시킬 수 있는 전체 감염자의 40% 이상을 발생시킨다고 파악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지역사회의 항체가 조사를 통해 면역도 조사를 준비하고 있지만 높은 항체가가 나올 가능성이 높지는 않다고 판단한다"며 "설령 항체가가 높게 나온다고 해도, 이를 집단면역이 형성돼서 방어력이 있다고 받아들일 수 있는 근거는 아직 없다"고 말했습니다.

전문가들의 의견을 빌어 약제 내성의 가능성도 언급했습니다. 그는 "치료제가 발굴되거나 개발된다 하더라도, 전 세계적으로 이 치료제가 대량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언젠가는 약제 내성도 등장할 수 있다고 전문가들은 경고한다"고 했습니다.


방역당국은 결국 백신이 개발돼 지역사회의 접종이 완료될 때까지는 '생활 속 거리두기'와 함께 조금이라도 코로나19 감염이 의심되면 신고하고 철저하게 추적조사를 계속해야 하는 시기라고 보고 있습니다.

권 부본부장은 총선을 시행한 지 13일째이지만 이와 관련한 감염사례는 아직 없다며 생활방역의 실천 사례라고 높이 평가했습니다.

그는 "현재까지 총선과 관련해 저희가 파악하거나, 신고된 감염이나 집단발병 사례는 없다"며 "(이를) 그대로 일상에 적용한다면 생활 속 방역을 실천할 수 있는 사례로 기억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이어 "지금까지 해온 대로 언제 어디서나 생활 속 방역을 이어간다면, 우리나라에서 코로나19를 억제하고 폭발적 발생은 더 이상 발생하지 않도록 관리가 가능할 것"이라며 "결국 코로나19의 운명은 우리 각자의 의지와 손에 달려있다"고 강조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