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800만 자영업자 종합소득세 석달 늦춰 8월에 낸다
입력 2020-04-28 13:34  | 수정 2020-04-28 14:10

800만명에 달하는 자영업자와 소상공인들은 올해 종합소득세를 석달 뒤인 8월까지 납부하면 된다. 코로나19사태로 매출이 크게 떨어진 사업자들이 속출한데 따른 정부의 세정지원 조치다. 28일 국세청은 6월 1일까지인 올해 종합소득세 납부기한을 8월 31일로 연장한다고 밝혔다. 매출이 크게 떨어진 납세자는 신고기한 연장을 신청하면 신고기한도 3개월 내에서 연장해주기로 했다. 대구, 경북 경산·경도·봉화군 등 특별재난지역에 위치한 사업자들은 납부기한 3개월 연장은 물론 신고기한도 6월 30일로 한달 연장됐다.
원천징수 등으로 미리 납부한 세액이 납부할 세액보다 많은 소득세 환급 대상자들은 예년보다 일주일 앞선 6월 23일 이전에 환급금을 받을 수 있다. 직권으로 납부기한이 연장된 납세자는 납세담보를 제공하지 않아도 되고, 신청에 의해 연장된 영세사업자들은 최대 1억원까지 납세담보가 면제된다.
이번 종합소득세 납부기한 연장은 앞서 지난 8일 문재인 대통령 주재 비상경제회의에서 결정됐다. 과거 2018년 태풍 피해 자영업자들에 대한 징수유예와 2019년 산불 피해 업자들에 대한 신고기한 연장과 달리 이번에는 전체 자영업자들이 대상이다. 김진현 국세청 개인납세국장은 "코로나19로 인해 매출 급감 등으로 위기에 직면한 납세자를 지원하기 위한 것"이라며 "연장 기한 이후에도 피해가 해소되지 않으면 추가로 연장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종합소득세는 사업, 근로, 이자, 배당, 연금, 기타소득을 모두 합산한 소득에 대한 세금이다. 지난해 종합소득세 대상자는 691만명으로 총 납부한 세금은 18조 9000억원에 달한다. 올해부터는 주택임대 소득이 2000만원 이하인 납세자들도 소득세를 신고해야 한다. 다만 이들은 분리과세(세율 14%)와 종합과세(세율 6~42%) 중 선택하면 된다. 또 올해부터 종합소득세의 10%를 내는 개인지방소득세가 분리됐지만 행정안전부와 국세청 시스템 연계로 자영업자들은 종전처럼 홈택스를 통해 신고하면 된다. 시군구에서도 개인지방소득세는 물론 종합소득세를 신고·납부할 수 있다.
[임성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