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합당, '김종인 비대위' 체제 28일 공식 출범
입력 2020-04-24 12:34  | 수정 2020-05-01 13:05

4·15 총선에서 참패한 미래통합당이 당 수습 방안 마련을 위해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체제'를 오는 28일 공식 출범하기로 했습니다.

김종인 전 총괄 선거대책위원장이 오늘(24일) 비상대책위원장직을 수락하기로 한 데 따른 것으로, 통합당은 오는 28일 오후 상임전국위원회와 전국위원회를 차례로 열어 '김종인 비대위'를 추인할 예정입니다.

심재철 당 대표 권한대행 겸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 직후 기자들과 만나 "총선 이후 당 진로와 관련해 최고위원회와 당내 의견 수렴 결과를 바탕으로 김 전 위원장에게 비대위원장을 맡아달라고 공식 요청했고, (김 전 위원장이) 이를 받아들였다"고 밝혔습니다.

심 권한대행과 김 전 위원장의 전날 만남은 불발된 것으로 알려졌으나, 심 권한대행은 '만나서 (비대위원장직에 대해) 의견을 나눈 것인가'라는 질문에 "그렇다"고 답했습니다. 회동 시점에 대해서는 함구했습니다.


심 권한대행은 비대위 활동 기간에 대해서는 "전당대회 일정과 관련한 한시적 부칙 조항을 수정해 원래 당헌에 명시된 비대위 규정이 적용될 수 있도록 당헌·당규 개정을 추진하겠다"고 말했습니다.

통합당 당헌·당규의 부칙에 따르면 새 지도부 선출을 위한 전당대회는 오는 8월 31일까지 개최돼야 합니다. 이는 곧 비대위의 활동이 8월 말로 종료된다는 것을 뜻합니다. 따라서 이 같은 부칙을 수정해 비대위의 활동 기간 연장 가능성을 열어두겠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비대위의 활동 기간은 '비상상황이 종료된 후 소집된 전당대회에서 당 대표와 최고위원이 선출된 때까지'가 됩니다.


심 권한대행은 "8월 말, 12월 말, 대선까지 등 여러 의견이 있는데 합리적인 선에서 판단하지 않겠나"라고 덧붙였습니다. 김재원 정책위의장은 '비상상황 종료'에 대해 "당을 운영하면서 당이 정상화됐다고 판단할 때"라고 답했습니다.

통합당은 4·15 총선 참패로 황교안 전 대표가 사퇴하자 당 수습을 위해 김 전 위원장을 위원장으로 하는 비대위로 전환하기로 하기로 하고 이를 준비해왔습니다.

다만 '김종인 비대위'에 대한 당내 반발도 만만치 않아 실제로 비대위로 전환하기까지 순탄치 않을 수도 있습니다.

당장 당 지도부 가운데 유일하게 이번 총선에서 당선된 조경태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 직후 비대위 전환 논의과정에 대해 "반민주적 행태"라며 공개적으로 반발했습니다.

조 최고위원은 당헌·당규상 규정된 '8월 31일까지 전당대회' 규정을 삭제하려는 움직임을 지적, "기한도 정하지 않고 당헌·당규를 뛰어넘는 권한을 주는 식의 비대위 출범을 반대한다"며 "28일에 전국위를 열 것이 아니라 당선자 대회를 열어서 의견 수렴을 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심 권한대행은 당내 반발에 대해서는 "지난번에 전수 전화조사를 해서 (김종인 비대위를) 결정했다"며 "한 표라도 더 많은 쪽으로 결정하겠다고 말씀드렸고 그 점에 대해 양해한 부분"이라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비대위원장 추대 과정은 철저히 당헌·당규 절차와 당헌의 기본 원칙에 따른 것"이라며 "당의 개혁과 변화를 위한 새 출발에 마음을 모아주시길 거듭 부탁드린다"고 강조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