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코로나로 원격의료 물꼬 트였는데…한국만 제자리
입력 2020-04-23 19:31  | 수정 2020-04-25 20:25
【 앵커멘트 】
전세계적으로 코로나19 환자는 급증하고 의료진은 부족한 사태가 벌어지면서, 원격의료의 가능성이 확인됐죠.
우리도 기술은 충분히 갖추고 있는데 규제에 가로막혀 빛을 보지 못하고 있습니다.
김수형 기자입니다.


【 기자 】
환자 스스로 혈압 등을 재서 결과를 보내면 의료진이 이 결과를 토대로 진료를 봅니다.

"산소포화도가 98%로 정상범주 내에 속했고요, 혈압도…."

혈압 등 간단한 건 의료진의 도움없이 환자 혼자 측정할 수 있어, 의료진이 기존의 3배 이상 환자를 볼 수 있습니다.

▶ 인터뷰 : 김홍진 / 스마트 헬스기기 업체 이사
- "(1명이) 100명의 환자를 관리했는데 새 시스템을 도입하면 초기엔 300명, 익숙해지면 500명 정도까지…."

이 업체는 미국 보훈처와 계약을 맺고 퇴역군인의 건강 관리를 맡고 있는데 코로나 사태 이후엔 해외에서 문의가 폭증하고 있습니다.

실제 전세계 원격의료 시장은 35조 원 규모, 매년 15%씩 급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한국은 의료계 반발과 꽉 막힌 규제로 제자리 걸음만 하고 있습니다.

코로나가 한창일 때도 간단한 의료기기 사용도 안 되고 전화 통화로만 가능했을 뿐입니다.

중국과 일본이 코로나 사태를 계기로 원격의료를 적극 활용하는 것과 대조적입니다.

▶ 인터뷰 : 김봉만 / 전경련 국제협력실장
- "글로벌 원격의료 시장에서 기회를 잡고 코로나19 같은 위기 상황에 능동적이고 안전하게 대처하기 위해서는 원격의료의 규제가 하루라도 빨리…"

높은 수준의 원격의료 기술을 보유한 국내 기업들이 규제에 막혀 해외로만 진출하고 있어, 정작 국내 의료소비자들은 혜택을 보지 못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MBN뉴스 김수형입니다.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