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동해북부선 유일한 단절 구간인 `강릉~제진`, 조기착공 여건 마련
입력 2020-04-23 17:12 
동해 북부선 강릉~제진 구간(110.9km 단선 전철)[자료 통일부]
동해북부선 건설 사업이 남북협력사업으로 인정되면서 국가재정법에 따라 예비타당성 조사 면제가 가능해져 조기 착공의 여건이 마련됐다.
2000년부터 추진됐던 남북 철도 연결 사업의 일환인 이 사업에 대해 남북 정상은 2018년 4·27 판문점 선언을 통해 경의선·동해선 철도와 개성∼평양 고속도로 등을 연결하고 현대화에 합의한 바 있다. 남북은 지난 2018년 12월 26일 북측 개성 판문역에서 남북철도·도로 연결 착공식까지 열었지만, '하노이 노딜' 여파에 남북 관계마저 얼어붙으면서 후속사업이 멈춘 상태였다.
통일부는 23일 김연철 장관 주재로 열린 제313차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에서 '동해북부선 강릉∼제진 철도건설사업'을 남북교류협력 사업으로 인정하고 추진 방안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부산에서 출발, 북한을 관통해 러시아, 유럽까지 연결되는 동해북부선은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신경제구상'과 '동아시아 철도공동체' 실현을 위한 핵심노선 중 하나로, 현재 남측의 강릉∼제진 구간이 유일하게 단절된 상태다.

동해북부선을 기반으로 원주∼강릉선(현재 운행 중), 춘천∼속초선(2027년 개통 예정) 등 수도권과 강원도를 잇는 동서 횡단철도망이 결합하면 물류 개선과 산업단지 활성화, 관광산업 촉진 등의 효과가 예상된다.
또한 2022년 개통되는 동해 중·남부선(부산∼삼척) 등과 연계하면 환동해 및 강원권 통합 철도망 구축이 가능해진다.
통일부 측은 "이번 사업은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국가의 균형 발전에도 크게 기여한다는 점에서 '한반도 뉴딜 사업'의 의미를 가지고 있다"며 "앞으로 동해북부선 사업과 함께 남북 철도 현대화 사업이 이뤄지고 한반도철도망(TKR)과 대륙철도망(TSR)이 완성되면 역내는 물론 동북아경제공동체 형성을 위한 교통·물류·에너지 협력의 기반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통일부는 4·27 남북정상회담 2주년인 오는 27일 오전 고성군 제진역에서 통일부와 국토교통부 주관으로 '동해북부선 추진 기념식'도 열 예정이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