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에릭슨엘지 "업링크 부스터로 5G 커버리지·속도 향상"
입력 2020-04-23 15:06 
에릭슨 업링크 부스터 [사진 제공 = 에릭슨엘지]

에릭슨엘지가 5G망의 커버리지와 데이터 처리 속도를 향상시키는 '에릭슨 업링크 부스터' 기술을 소개했다.
에릭슨엘지는 23일 온라인 기자 간담회를 통해 에릭슨 업링크 부스터를 활용해 사용자 애플리케이션의 커버리지를 확대하는 실험 결과를 얻었다고 밝혔다. 에릭슨과 LG전자가 공동 투자해 설립한 에릭슨엘지는 현재 삼성전자·노키아·화웨이 등과 함께 5G 통신장비 시장에서 각축전을 벌이며 국내에서는 SK텔레콤·KT·LG유플러스까지 통신 3사와 모두 협업하고 있다. 이 날 소개된 에릭슨 업링크 부스터는 스마트폰 사용자에게 전파를 집중해 빔을 형성하는 빔포밍 프로세서를 디지털유닛(DU)이 아닌 라디오(Radio)단에 구현하여 데이터 처리 용량을 최소화하고, 빔포밍 성능고 5G 커버리지를 극대화하는 기술이다. 통신 3사가 5G망에 배치한 장비 업체는 지역마다 차이가 있지만 에릭슨 업링크 부스터가 적용된 곳에서 더욱 빠른 5G를 만날 수 있다는 것이 에릭슨엘지의 설명이다.
이 날 간담회에 참석한 박병성 에릭슨엘지 수석 네트워크 컨설턴트는 "업링크 부스터 성능을 향상시키면 기지국 커버리지도 넓어져 주파수 효율이 높아진다"며 "에릭슨의 최적화 기술이 다른 회사보다 비교 우위에 있다"고 밝혔다.
에릭슨엘지가 스웨덴에서 업링크 부스터를 이용할 때와 아닐 때를 비교해 실험한 결과 90% 앱커버리지 향상과 상향링크 성능 개선을 확인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 커버리지가 100m라면 190m까지 늘어날 수 있다는 의미다. 또한 북미지역 상용망에서 진행한 벤치마크 테스트에서도 업링크 성능 차이를 확인했다.
추후 안정적인 5G서비스 제공을 위해서는 서비스 사용자나 단말기를 대상으로 다운링크와 업링크 커버리지를 동시에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 과제다. 데이터의 수신과 송신이 양쪽으로 모두 중요하다는 의미다. 특히 5G 상용화 이후 고해상도 CCTV나 자율주행 자동차를 상용망에서 문제없이 사용하기 위해서 성능 확보가 필수적이라는 것이 에릭슨엘지의 주장이다. 박 컨설턴트는 "기존 5G 상용망에서는 데이터 전송속도가 자율주행 자동차를 따라가지 못하는 데이터 음영지역도 있었지만 업링크 부스터를 이용하면 데이터 송수신 속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용익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