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국내기업 68% 화상회의 활용 못해…코로나19에 업무 차질
입력 2020-04-23 13:33 
코로나19에 대응한 국내 기업의 화상회의 시스템 활용 여부(왼쪽)와 활용 시스템의 종류를 조사한 결과. [자료 =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

코로나19 대응을 위한 사회적 거리두기로 대면 회의 진행이 어려운 가운데, 국내 기업의 68%는 디지털 화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기업의 업무 차질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부 차원의 지원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3일 한국산업기술진흥협회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코로나19에 대응한 기업의 화상회의 시스템 활용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산기협은 지난 8일부터 20일까지 국내 연구소 보유기업 1035개사를 대상으로 조사를 실시했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 기업의 68%는 코로나19 상황에 대응해 연구개발(R&D) 활동에 비대면 화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하지 못하고 있다고 답했다. 화상시스템을 활용 중이라고 답한 기업의 활용 빈도도 주 2회 미만이 79.9%로 적극적으로 활용하지는 않는 것으로 파악됐다.
기업이 화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하지 않는 이유(중복응답 허용)로는 비용 부담이 49.7%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활용정보 부족(41.3%)과 효과가 크지 않아 불필요(37.8%), 낯설음·거부감(25.8%)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비대면 화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하는 기업의 69.3%는 외산 시스템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산 시스템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는 기능면에서 외산 시스템보다 미흡하다는 점과 해외 업체와의 거래에 필요하다는 점 등을 꼽았다. 국산 시스템을 사용하는 업체는 29.2%, 기업이 자체 개발을 통해 시스템을 사용하는 업체는 1.5%에 그쳤다.
또 이번 조사에서 비대면 화상회의 시스템을 활용하는 기업의 36.9%는 국산과 외산을 막론하고 시스템 사용에 불만이 있다고 답했다. 주요 사유로는 끊김 현상 등 네트워크 불안정이나 영상·음성 품질 상태 불량, 보안 우려, 인원 제한 등을 지적했다.
비대면 R&D 활동을 위해 정부가 화상회의 시스템 관련 지원을 해야 한다고 답한 기업은 55.7%로 조사됐다. 불필요하다는 응답은 15.6%에 불과했다. 지원 범위(중복응답 허용)는 웹캠이나 마이크 등 화상회의 관련 부대장비 구입까지 지원해야 한다는 응답이 63.0%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그 밖에 시스템 사용비 지원(49.0%), 비대면 협업시스템 구축 지원(44.2%) 순으로 요청했다.
마창환 산기협 상임부회장은 "코로나19 사태로 기업들이 R&D 활동에 차질을 빚고 있어 비대면 시스템 활용에 대한 정부 지원이 시급하다"며 "정부가 우수한 국산 제품을 보급하고 기업의 활용을 적극 지원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경은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