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건강
MMR 백신, 코로나19에 효과 있나…영국서 가능성 제시
입력 2020-04-23 09:44  | 수정 2020-04-30 10:05
신생아들이 맞는 MMR(홍역·볼거리·풍진) 백신이 신종 코로나 감염증(코로나19)에도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제기됐습니다.

영국 케임브리지대학의 로빈 프랭클린 교수 연구팀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이른바 '스파이크 단백질' 구조가 풍진 바이러스와 29%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면서 MMR 백신이 코로나19에 효과가 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힌 것으로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어제(22일) 보도했습니다.

이것이 코로나19 바이러스에 대해 교차 면역반응(cross-reactive immune response)을 유발할 만큼 충분한 것인지는 알 수 없으나 앞으로 연구 대상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연구팀은 밝혔습니다.

이런 가능성을 뒷받침하는 또 다른 근거로 회복된 코로나19 환자들의 혈액에 형성된 항체도 풍진 항체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는 사실을 연구팀은 지적했습니다.


MMR 백신은 생후 1년과 3~4년 두 차례에 접종합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1차 접종률은 95%, 2차 접종률은 87.4%라고 합니다.

이 백신이 영국에 처음 도입된 것은 1963년으로 그 전에 출생한 세대는 MMR 백신을 맞지 못했습니다.

영국의 코로나19 사망자는 65살 이상이 87%를 차지하고 있고 이탈리아, 스페인, 독일도 비슷합니다.

고령 환자의 코로나19 사망률이 다른 연령층에 비해 이처럼 유달리 높은 이유도 혹시 MMR 백신을 맞지 못한 세대와 연관이 있는 것이 아닌지 의심이 간다고 연구팀은 말했습니다.

어린 연령층이 특히 코로나19에 강한 저항력을 보이는 것도 MMR 백신 접종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연구팀은 보고 있습니다.

현재 기존의 백신중 코로나19에 효과가 있는 것이 없는지를 과학자들은 살펴보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1세기 전에 개발된 결핵 예방 BCG 백신입니다.

BCG 백신은 현재 호주 등 4개국에서 임상시험이 진행될 예정입니다.

호주에서는 전국 병원에서 일하는 보건 요원 약 4천명을 대상으로 6개월에 걸쳐 BCG 백신을 접종, 코로나19 예방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게 됩니다.

보건당국의 긴급 승인이 나는 대로 참가자를 모집할 예정이라고 멜버른대학의 니겔 커티스 감염내과 교수는 밝혔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