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코로나19 계기 힘 실리는 '비대면의료'…정부 "방안 고민중"
입력 2020-04-20 12:48  | 수정 2020-04-27 13:05
정부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유행 상황에서 한시적으로 운영을 허용한 비대면 진료를 앞으로도 활성화할지를 놓고 고민하고 있습니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오늘(20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코로나19 유행 상황에서 국민의 안전을 확보하고 의료기관을 감염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비대면 진료를 한시적으로 허용했는데, 만성질환자나 고령자를 중심으로 적절히 잘 활용되고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정부는 코로나19 지역사회 확산 방지를 위해 2월 24일부터 한시적으로 전화를 이용한 상담과 처방이 가능하도록 했습니다.

이달 5일에는 가벼운 감기환자나 만성질환자 등이 전화 상담이나 처방, 대리처방, 화상진료 등 비대면 진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도록 하는 대책도 내놓았습니다.

문재인 대통령도 14일 국무회의에서 비대면 산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해야 한다면서 비대면 의료서비스를 예로 들었습니다.


그러자 의료계 일각에서는 사실상의 원격의료가 제도화되는 것 아니냐는 우려와 반발이 나왔습니다.

김 총괄조정관은 "여러 방안을 놓고 고민 중"이라며 "정부는 코로나19가 던진 (비대면 등) 여러 화두를 정책체계 내에서 어떻게 실행할 수 있는 방안으로 만들어낼지 살펴보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그는 "기본적인 보건의료 정책 기조는 국민들의 건강과 안전을 최우선 목표로 두면서 현재의 구조적인 제한을 어떻게 완화할 수 있는지를 고민하고 있다"며 "공공의료체계와 민간 의료체계의 적절한 역할분담, 각종 의료자원의 효율적인 확보 및 운영방안 등을 고민하는 것이 선행 숙제"라고 덧붙였습니다.

김 총괄조정관은 최근 구성된 청와대의 보건의료혁신 태스크포스(TF)의 논의 내용에 비대면 의료활성화가 포함된 것이냐는 질문에 대해 "비대면 의료에 대한 논의가 일부 거론될 수 있겠지만, 이 부분이 현재 논의되거나 논의 내용에 포함돼 있는지는 확인드릴 수 있는 상황이 아니다"라고 답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