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감염보다 무서운 굶주림… `세계 최빈국` 말라위 법원 "봉쇄령 중단하라"
입력 2020-04-19 14:53  | 수정 2020-04-26 15:07

전 세계 최빈국인 남아프리카 말라위의 법원이 코로나19 확산 차단을 위해 정부가 발동한 봉쇄령을 '사람들이 굶어죽을 수 있다'며 멈춰세웠다.
18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 등에 따르면, 말라위 고등법원은 말라위 인권옹호연합(HRDC)가 "정부가 내린 3주간의 봉쇄령의 효력을 중단해달라"며 낸 가처분 신청을 지난 17일 인용했다고 보도했다.
당초 18일부터 사람들의 이동 제한과 함께 비필수 업종의 영업이 금지될 예정이었지만 "봉쇄기간 동안 빈곤층과 취약계층의 식량난과 영양실조를 막기 위한 정부 대책이 미흡했다"며 이의를 낸 시민단체의 주장을 받아들인 것이다. HRDC는 "팬데믹과의 전투에 반대하는 것이 아니다"면서도 식료품 시장이 닫히면 사람들이 아사(餓死)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날 법원 결정에 따라 봉쇄령은 일주일간 금지됐다. 말라위는 2018년 기준 1인당 국내총생산(GDP)는 389.4달러에 그쳐 전 세계 151개국 가운데 150위인 최빈국이다.
아프리카가 빈곤율 등 지역적 특수성을 고려하지 않고 무작정 아시아·서구의 방역책을 따라가는 건 문제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케냐의 사회운동가 케네디 오데드는 "모든 (방역에 관한) 이론은 선진국으로부터 나오고 있다"며 "'사회적 거리두기'는 냉장고에 3주간 먹고마실 음식이 있다는 뜻이고, '손씻기'는 물과 비누가 있어야 한다는 뜻"이라며 빈곤한 아프리카 상황은 다르다고 지적했다.

실제 말라위 대도시에선 봉쇄령 실시를 하루 앞두고 "굶어 죽는 것보다 바이러스에 감염되는 것이 낫다"고 적힌 플랜카드를 든 소상공인이 집단 시위가 벌어졌다고 FT가 전했다.
말라위에서 18일까지 공식 확인된 코로나19 확진자는 17명, 사망자 2명이다. 증증환자를 위한 집중치료 병상 25개, 인공호흡기 7개가 있는 것으로 전해진다.
[진영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