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통합당, 최고위 비공개 회의서 '김종인 비대위' 체제에 의견 모아
입력 2020-04-17 19:45  | 수정 2020-04-24 20:05

미래통합당 최고위원회는 17일 국회에서 비공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김종인 비상대책위원회' 체제 전환에 의견을 모았습니다.

심재철 당대표 권한대행은 이날 오후 김종인 전 총괄선대위원장을 찾아가 비대위원장을 맡아달라고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당헌·당규상 당 대표 권한대행이 비대위원장을 지명할 수 있기 때문에 김 전 위원장이 비대위원장직을 수락하고, 조만간 당선인 총회 등을 통한 당내 의견 수렴 절차를 거치면 통합당은 비대위 체제를 맞을 것으로 보입니다.

통합당 지도부가 총선 패배 이틀 만에 비대위 체제를 거론한 것은 황교안 전 대표를 비롯해 당 지도부가 사실상 공백 상태인 점을 감안한 것입니다.


무엇보다 총선 패배를 딛고 2022년 대선을 준비하려면 당의 체질 개선이 시급하다는 당 안팎의 여론이 분출하는 상황에서 당명부터 가치·비전까지 '대수술'을 하려면 김 전 위원장 외엔 대안이 없다는 데 당내 공감대도 형성되고 있습니다.

앞서 김 전 위원장은 지난달 통합당의 총괄선대위원장직을 수락하며 연합뉴스와 인터뷰에서 "통합당은 총선 후에도 파괴적인 혁신을 해야 한다. 옛날식으로 안이하게 갈 수는 없다"며 "이것은 통합당 스스로 해야 하는 작업이며, 저는 이런 것들이 필요하다는 제시를 할 뿐"이라고 밝힌 바 있습니다.

이날 최고위에서는 김 전 위원장에게 임기 등 전권을 위임해야 한다는 의견도 지배적이었다고 합니다.

조기 전대를 치르기 위한 '징검다리식' 관리형 비대위가 아니라 6개월 이상 장기적인 혁신형 비대위를 세워야 한다는 것입니다.

한 최고위원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선거에 진 '미래통합당' 이름부터 모든 것을 바꿀 수 있도록 당연히 김종인 전 위원장이 당을 맡아줘야 한다"며 "지금 당선된 사람들로 조기 전당대회를 치르는 것은 말도 안 된다"고 말했습니다.

또 다른 최고위원은 통화에서 "총선에서 패배했는데 조기 전대를 열어 당권 다툼을 하는 모양새가 연출되면 절대로 안 된다"며 "김종인 비대위가 오늘 최고위회의의 다수 의견이었다"고 전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