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한국이 전세계 확산시킨 `드라이브 스루` 일본, 이제서야…
입력 2020-04-17 09:37  | 수정 2020-04-24 09:37

일본 정부가 코로나19 환자를 가려내는 방법으로 '차량 탑승'(드라이브 스루) 검사를 공식 도입했다.
17일 니혼게이자이신문에 따르면 일본 코로나19 대응 주무부처인 후생노동성은 한국이 도입해 세계적으로 확산시킨 이 방식의 검사를 할 수 있도록 추인하는 '사무연락' 문서를 전국의 지자체에 보냈다.
후생성은 이 문서에서 의사가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차량에 탑승한 채로 진료할 수 있고, PCR(유전자증폭) 검사를 위한 검체 채취도 가능하다고 밝혔다.
한국에서 시작한 차량 탑승 검사는 대량의 검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데다가 의료기관 건물 안에서 검체를 채취할 때보다 감염 위험이 낮은 것으로 알려지면서 세계 각국으로 급속히 보급됐다.

그러나 일본 정부는 그간 야외에서 진행하는 이 방식의 검사 과정에서 검체가 오염될 우려가 있는 점과 이를 도입한 나라 중에서 감염 확산이 억제되지 않은 사례가 있다는 점을 들어 공식 도입에 소극적인 입장을 유지했다.
아베 신조(安倍晋三) 총리는 지난 7일 코로나19 확산에 대응하기 위한 긴급사태를 선포한 뒤 검사 능력을 확충하기 위해 드라이브 스루 검사를 활용하는 방안도 검토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아이치(愛知)현 나고야시, 니가타(新潟)현 니가타시, 돗토리(鳥取)현 등 지자체들이 잇따라 중앙정부의 정책과는 별도로 이 검사를 도입하겠다고 선언하자 후생성은 결국 공식 추인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았다.
일본의 코로나 19 확진자 수는 16일 1만명을 넘어서면서 긴급사태가 1차로 선포된 지난 7일 이후 9일 만에 2배로 급증했다.
아베 총리는 급기야 16일 도쿄도(都) 등 7개 도부현(都府縣·광역자치단체)에 국한했던 긴급사태 적용 지역을 전국으로 확대했다.
후생성이 검사 체제 확충 대책의 하나로 드라이브 스루 검사를 공식 인정하기로 뒤늦게 결정했지만 시기가 너무 늦었다는 지적과 함께 지자체에 모든 책임을 떠넘기는 식이라는 비판론이 제기되고 있다.
닛케이는 후생성이 지자체에 보낸 사무연락은 검사체제 확충 대책의 하나로 드라이브 스루 검사소 설치를 지자체에 전부 위임하는 내용뿐이라며 설치 여부에 관한 판단이나 인력 문제를 통째로 떠안게 된 지자체는 곤혹스럽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고 전했다.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의 선임고문을 맡고 있는 시부야 겐지(澁谷健司) 런던 킹스칼리지 교수는 닛케이 인터뷰에서 "도쿄 등지에서 검사대상을 넓혀 감염자를 격리하는 대책을 서둘러 추진했어야 했다"며 "드라이브 스루 검사를 승인한 타이밍이 너무 늦었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