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광고 수수료 없는 114 배달앱'…배달의민족 대항마 될까
입력 2020-04-13 12:48  | 수정 2020-04-20 13:05
번호안내 114 서비스를 제공하는 KT CS가 광고 수수료 없는 '음식 배달 앱'을 내놓았습니다.

KT의 배달 앱이 최근 '수수료 논란'이 일고 있는 '배달의민족'(배민)의 대항마가 될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


KT CS는 오늘(13일) '콕콕114' 앱을 통해 배달음식점 전화번호를 수수료 없이 안내하는 'K배달' 서비스를 리뉴얼했다고 밝혔습니다.

KT는 지난해 6월 O2O(온·오프라인 연계) 시스템 개발 전문업체 등과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뒤 앱 서비스를 개발했습니다.

안드로이드 버전은 지난해 11월 서비스를 시작했고, iOS 버전은 이번 주부터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먼저 '콕콕114' 앱의 메인 화면에서 'K배달'을 터치하면 '치킨', '중국집', '한식·분식' 등 메뉴별로 반경 3㎞ 이내에 있는 업체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는 '전화 연결' 버튼을 눌러 업체에 직접 주문하고, 업체는 광고 수수료 없이 주문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 앱을 통해 원하는 매장의 영업시간, 주소, 지도, 고객 후기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콕콕114'에 등록된 사업장은 메뉴, 영업시간 등 상세정보를 직접 올릴 수 있습니다.

KT CS는 번호안내 114 데이터베이스(DB)를 기반으로, 국내 최대 규모인 4만여 건의 배달음식점 정보를 제공한다고 설명했습니다.

특히 KT의 인공지능(AI) 서비스인 기가지니와도 연동돼 음성으로 '지니야 치킨 시켜줘', '지니야 자장면 시켜줘' 등 먹고 싶은 메뉴를 말하면 음식점 정보를 바로 제공합니다.

다만 이 서비스를 통해 직접 메뉴를 선택해서 주문할 수는 없습니다. 이 앱은 음식점 정보를 제공하고, 직접 연결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KT CS 관계자는 "콕콕114는 국내에서 가장 큰 규모의 전화번호 DB를 보유하고 있다"며 번호안내 114가 가진 정보와 시스템을 활용해 소상공인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지속해서 모색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특히 KT CS가 제공하는 '콕콕114' 앱이 최근 광고 수수료 논란이 일고 있는 '배달의민족'(배민)을 대체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립니다.

배민은 지난 1일 주문 성사 시 5.8%의 수수료를 받는 '오픈서비스' 요금체계를 도입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기존에는 8만8천원의 월정액 광고인 '울트라콜' 중심의 요금체계를 사용했습니다.

새 정률제 서비스는 매출 규모가 클수록 수수료도 늘어나는 구조여서 소상공인에게 더 큰 부담을 지운다는 비판이 제기됐습니다.

결국 배민은 지난 10일 공식 사과문을 내고 "'오픈서비스' 체계를 전면 백지화하고 이전 체제로 돌아가고자 한다"고 입장을 철회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