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코로나19 국면에 사람들이 가장 우려하는 건 '가족의 감염'
입력 2020-04-10 19:16  | 수정 2020-04-17 20:05

국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국면이 장기화하는 가운데 사람들이 자신보다 가족의 감염을 더 우려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현진희 한국트라우마스트레스학회 회장(대구대 사회복지학과 교수)은 10일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대한민국의학한림원·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공동으로 개최한 '코로나19 사태에 대비하는 정신건강 관련 주요 이슈 및 향후 대책' 온라인 포럼에서 이런 내용의 조사 결과를 공개했습니다.

학회는 지난달 17일부터 30일까지 전국 성인 1천14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국민 정신건강 실태조사'를 시행했습니다.

그 결과 코로나19 상황에서 사람들이 가장 우려하는 건 '가족의 감염'이었습니다.


그다음은 '자신의 감염으로 가족이나 타인에게 전염', '자신의 감염으로 인한 직장 및 다른 사람의 피해' 등 본인으로 인해 타인에게 피해를 줄 수 있는 상황이 꼽혔습니다.

'자신의 감염'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은 총 7개 항목 중 6번째 순위에 불과했습니다.

전반적인 우울, 불안 수준은 재난 상황을 고려할 때 정상 범위로 분석됐습니다.

현 회장은 "2018년 선행조사 평균 2.32점과 비교하면 현재 조사는 5.1점이지만 재난 상황에서 일어나는 정상적인 스트레스 반응으로 해석된다"고 말했습니다.

다만 약 20% 정도는 중등도 이상으로 관심이 필요한 불안, 우울 위험군이어서 적극적인 심리방역이 필요하다고 봤습니다.

지역별로는 대구 사람들이 가장 높은 수준의 불안을 호소했습니다.

코로나19 확진자가 대거 쏟아져 나온 영향이 적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현 회장은 "대구는 이전에 특별히 불안 수준이 높은 지역이 아니었는데 올해 조사에서 매우 큰 상승 폭을 보였다"며 "성별로는 여성이 전 분야에서 불안 수준이 높았고, 연령별로는 평소 활동량이 많은 30∼40대의 우울 수준이 높았다"고 밝혔습니다.

포럼에서는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불안을 과도하게 안심시키려거나 낙관하기보다는 상황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게 중요하다는 전문가의 조언도 나왔습니다.

백종우 대한신경정신의학회 재난정신건강위원회 위원장(경희대 의대 교수)은 "알려지지 않은 바이러스에 대한 불안은 높을 수밖에 없다"며 "무조건 두려움을 없애려고 하기보다는 감정을 그대로 받아들이는 게 더 바람직하다"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