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라임사태 구속` 신한금투 임원, 사내 연봉甲이었다
입력 2020-03-30 20:47  | 수정 2020-03-30 22:42
◆ 2019 상장사 임직원 보수 공개 ◆
다수의 금융권 최고경영자(CEO) 연봉은 전년도 대비 크게 오르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올해 퇴임한 현성철 전 삼성생명 사장은 지난해 총 13억8000만원을 보수로 받았다. 이는 전년도보다 200만원 소폭 상승한 액수다. 한국씨티은행은 박진회 행장 연봉이 18억9600만원으로 전년도 대비 4000만원가량 소폭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박종복 SC제일은행장 총보수는 2018년 9억7600만원보다 1억5700만원 늘어난 11억3300만원을 기록했다. 반면 원기찬 전 삼성카드 사장은 전년도(24억4600만원)에 비해 줄어든 24억2700만원을 받고 퇴임했다. 최영무 삼성화재 대표이사도 15억1700만원을 수령해 전년도 18억4800만원보다 총액이 줄었다.
퇴임한 CEO 중에서는 차남규 전 한화생명 부회장이 24억원을 퇴직금 명목으로 수령하며 총 33억2700만원을 연봉으로 받았다. 김재식 전 미래에셋생명 대표이사는 퇴직금 7억200만원을 포함해 총 9억9100만원을 수령했다.
금융지주 회장 중에는 김정태 하나금융그룹 회장이 24억9700만원, 윤종규 KB금융그룹 회장이 15억9500만원을 받았다. 이어 조용병 신한금융그룹 회장이 12억6000만원, 손태승 우리금융그룹 회장은 7억6200만원을 받았다.
은행장은 허인 KB국민은행장이 8억9100만원, 진옥동 신한은행장이 6억3100만원, 지성규 하나은행장이 5억5000만원을 연봉으로 받았다. 정태영 현대카드·현대캐피탈·현대커머셜 대표이사 부회장은 3개 회사에서 총 39억8900만원을 수령했다. 이는 전년도인 2018년 대비 5억원가량 늘어난 금액이다.

정문국 오렌지라이프 사장은 지난해 210억3600만원을 받아 금융권 임직원 가운데 가장 높은 보수를 기록했다. 정 사장은 지난해 오렌지라이프가 신한금융지주로 매각되면서 주식매수선택권(스톡옵션)을 행사해 194억4500만원을 수령했다.
지난해 증권업계에서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사람은 김진영 하이투자증권 부사장으로 나타났다. 김 부사장은 지난해 34억2700만원을 받았다. 퇴직금까지 더해 가장 많은 보수를 받은 인사는 김주원 전 한국금융지주 부회장으로 퇴직금 43억600만원을 포함해 54억4700만원을 수령했다. 금융권 오너 경영자도 고액 연봉을 받았다. 김남구 한국투자금융지주 회장은 지주사와 증권사 연봉을 더해 모두 24억1700만원을 받았다.
증권업계에서는 지난해에도 CEO 연봉을 뛰어넘는 임직원들이 나왔다. 라임자산운용 사태로 구속된 임 모 전 신한금융투자 PBS사업본부장이 지난해 15억원 넘는 연봉을 받았다. 이는 최근 사의를 표명한 김병철 전 대표이사의 2배가 넘는 수준이다. 임 전 본부장은 지난해 연봉으로 상여 11억2600만원을 포함해 15억4100만원을 받았다. 지난 27일 임 전 본부장은 펀드 가입자들을 속여 480억원을 편취한 혐의 등으로 구속됐다.
[김규식 기자 / 김강래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