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코로나·공시가 상승에…강남·마용성 매수문의 `뚝`
입력 2020-03-22 18:23  | 수정 2020-03-22 20:18
코로나19 사태와 공시가 인상 후폭풍으로 강남,마·용·성 등 서울 핵심 지역에 급매물이 늘어나고 있다. 22일 오전 서울 송파구 파인애플상가 부동산중개업소 외벽에 아파트 급매물 광고가 붙어 있다. [한주형 기자]
코로나19 확산 여파에 공시가 인상 충격, 자금조달계획서 확대 등 악재가 겹치면서 강남, 마·용·성(마포·용산·성동구) 등 서울 핵심 지역의 아파트 매수 문의가 뚝 끊겼다.
22일 부동산 업계에 따르면 지난 주말 중개업소는 매도 상담이 조금씩 늘고 있지만 매수자들이 시세보다 2억∼3억원 이상 싼 급매물만 사겠다며 관망세를 유지하면서 거래가 거의 이뤄지지 않고 있는 분위기다.
매도 문의가 늘어난 것은 올해 역대급으로 인상된 아파트 공시가격 발표에 종합부동산세 등 세금 부담이 커졌기 때문이다. 시장에는 소득으로 보유세를 내기 힘든 계층을 지칭하는 '보유세 푸어(poor)'란 신조어까지 등장했다. 반면 코로나19 사태로 부동산 가격 조정이 예상되는 데다 이달 13일부터 자금조달계획서 제도가 강화되며 매수 대기 수요가 크게 줄었다. 올해 아파트 공시가격이 30∼40%씩 급등한 강남권 중개업소들에 따르면 급매물이 조금씩 나오는 가운데 장기적으로 집값 조정이 불가피할 조짐을 보인다.
서초구 반포동 한 공인중개업자는 "급매로 매도하겠다는 사람이 나와서 잠재적 매수자들에게 연락을 돌렸지만 사겠다는 사람이 없다"며 "시장 전체가 심리적으로 공포에 질려 있어 거래가 뚝 끊겼다"고 말했다.

실거주 수요와 1주택자가 많은 마·용·성은 보유세 인상 타격이 약해 강남처럼 급매가 나오고 있지는 않지만 매수 문의가 뜸해진 것은 마찬가지다. 마포구 공덕동의 한 공인중개업자는 "강남처럼 2억~3억원 이상 떨어진 급매는 없지만 매수세가 잠잠해져 거래가 없다"고 설명했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당분간 이처럼 거래 자체가 성사되지 않는 '냉각기'가 이어질 전망이다. 매수 대기자들이 시세보다 수억 원 싼 급매물만 노리고 있지만 강남 다주택자들은 세제 혜택을 받는 임대사업자로 등록한 경우가 많고, 마·용·성 1주택자들은 '버티기 모드'에 들어가 당장 급매물이 대량 출회할 가능성은 낮기 때문이다. 다만 정부가 오는 6월까지 10년 이상 보유한 다주택자에 한해 한시적 양도세 중과 배제 혜택을 주기로 한 만큼 6월 말 이전 일부 물량이 쏟아질 가능성이 남아 있다.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보유세 부담이 올라도 반전세·월세 전환이나 증여, 임대사업자 등록 등 다양한 방법으로 부담을 경감하며 버티려는 다주택자가 많다"고 말했다.
[정지성 기자 / 박윤예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