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
1세대 한복 디자이너 이리자 씨 별세
입력 2020-03-22 13:46  | 수정 2020-03-29 14:05

한복 패션화와 국제화를 이끈 1세대 한복 디자이너 이리자(본명 이은임) 씨가 21일 오후 10시 50분 노환으로 별세했습니다. 향년 85세.

1975년 국내 최초로 한복 작품 발표회를 개최하며 한복 디자이너라는 명칭을 사용한 고인은 국내에 한복 붐을 일으키고 외국에 한복의 아름다움을 널리 알렸습니다.

1935년 충남 논산에서 태어나 충남대 영문과를 졸업한 그는 어려운 살림에 바느질을 시작해 작은 한복집을 열었습니다. 이후 천재적인 재능과 노력으로 현대 한복 발전에 크게 이바지한 장인이 됐습니다.

1966년 이리자 한복연구소를 설립한 그는 1970년 한국인의 체형을 보완하는 '이리자식 한복패턴'을 개발해 보급했습니다.


당시 한복은 일자로 허리에 주름을 잡은 항아리형이었으나 그는 밑단이 퍼지는 A-라인으로 치마를 디자인했습니다. 해외 무대에서 한국 여성들의 키를 커 보이게 만든 디자인입니다.

그는 1974년부터 1977년까지 미스유니스버대회 등 세계 미인대회에서 최우수 민속 의상상을 받았습니다.

미국, 일본, 중국, 영국 등 세계 각국에서 100회가 넘는 한복 패션쇼를 개최했고, 프랑스 프레타 포르테에도 초청받았습니다.

고인은 색동, 금박, 자수 등 다양한 장식기법을 활용해 한복의 패션화를 이끌었습니다. 홍석창, 김금출 등 유명 화가들이 그린 매화, 목련 등의 그림과 안광석 등 서예가의 글씨도 한복에 활용했습니다.

명성이 높아지면서 여러 명사의 한복을 제작했다. 프란체스카 여사부터 이순자, 이희호, 권양숙 여사까지 역대 대통령 부인들이 그가 만든 한복을 입었습니다. 이승만 전 대통령의 부인 프란체스카 여사 별세 후 입관 때도 그가 만든 한복 차림이었습니다.

처음 마네킹에 한복을 입혀 디스플레이한 것도 그였습니다. 1996년에는 한복 전시관을 건립했으며, 사단법인 우리옷협회도 창립했습니다.

한복 발전 등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2년 화관문화훈장과 신사임당상을 받았습니다.

2000년대 들어서는 조각천을 활용한 한복 디자인을 유행시켰습니다. 2000년 위암 판정을 받고 투병 생활을 시작하면서 작은 조각천을 이어붙여 옷을 만들었습니다.

고인은 영부인이 입었던 한복 등을 2009년 국립민속박물관에 기증했고, 이리자 한복 기증 특별전이 열렸습니다.

유족으로는 남편 황윤주 전 상명대 교수, 장녀 황의숙 배화여대 교수, 장남 황의원(사업) 씨, 차남 황의명(사업) 씨가 있습니다.

빈소는 서울 적십자병원 장례식장, 발인은 23일 오전 10시, 장지는 용인 평온의숲입니다.

유족들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으로 조문을 받지 않고 가족장으로 장례를 치른다고 밝혔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