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美 어린이도 코로나 지원금 500달러 받는다
입력 2020-03-21 14:41 
[신화 = 연합뉴스]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에 대응하기 위해 각국 정부가 앞다퉈 지원 대책을 쏟아내고 있다. 핵심은 '현금'이다. 미국과 유럽에서 추가적인 지원대책이 연이어 나오면서 전 세계 부양책의 규모도 급속도로 불어나고 있다.
지난 19일 블룸버그통신은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해 주요 20개국(G20) 국가에서 발표된 경기부양책 규모만 3조573억달러(3944조원)에 달한다고 밝혔다. 미국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내놓은 1조 달러 지원대책의 의회 승인을 기다리고 있으며 유럽도 독일을 중심으로 추가 지원대책을 연이어 내놓고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내놓은 1조 달러 규모 지원 대책은 오는 23일을 전후해 여야 협상을 거쳐 미국 상원에서 승인 여부가 정해질 전망이다. 해당 지원 대책에는 미국 성인 1인당 1200달러를 현금으로 지급하는 일 외에도 6주간 임금 지급을 위한 3000억달러 규모 중소기업 대출 및 기업대출을 위한 환율안정자금(ESF)을 2000억달러로 증액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과거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2009년 2월 미 의회가 승인했던 경기부양책 규모는 8310억원으로, 금융위기 이후 최대 규모 경기부양책이 나온 셈이다.
세금 신고·납세 기한 연장과 더불어 지방채 매입조치도 단행됐다. 지난 20일(현지시간) 스티브 므누신 미 재무장관은 트윗을 통해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연방세 신고, 납세 기한을 4월 15일에서 7월 15일로 옮긴다"며 "모든 납세자와 기업들은 이자나 과태료 없이 납세를 위한 여유 시간을 갖게 된다"고 밝혔다.
지난 20일(현지시간) 스티브 므누신 미 재무장관이 연준의 지방채 매입 확대에 대한 감사 표시를 트윗을 통해 남겼다. [사진 출처 = 스티브 므누신 미 재무장관 트위터 계정 캡처]
같은날 므누신 장관은 이어서 "'머니마켓 뮤추얼펀드 유동성 기구'(MMLF)에 지방채를 포함시킨 연준에 감사하다"면서 "주 정부와 지방 정부를 지원할 추가적인 유동성이 공급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는 미 연준이 부양책의 일환으로 설치된 MMLF를 통해 지방채를 담보로 대출해주는 방식으로 2008년 금융위기 당시에도 지방채 매입은 시행된 적이 없었다.
공개시장조작 정책을 맡은 뉴욕 연방준비은행도 "150억달러(약 18조 6700억원) 규모 주택저당증권(MBS)을 추가로 매입할 계획을 밝히면서 5000억달러 한도에서 한시적으로 운영 중인 오버나이트 레포(Repo·환매조건부채권) 거래도 이달 말까지 연장 운영키로 했다.
유럽도 독일 정부를 중심으로 속속들이 새로운 추가 지원대책을 내놓고 있다. 지난 20일(현지시간) 유럽연합(EU) 집행위원회는 각 회원국이 코로나 피해 기업에 제공하는 국가 보조금 규정을 완화해, 최대 80만유로(약 10억7000만원)까지 직접 보조금 지급, 세금 혜택, 긴급자금 공급 등이 가능하게 했다. 같은날 유럽중앙은행(ECB)도 은행이 자금이 필요한 가계와 기업에 최대 1조8000억유로(약 2400조원)까지 신용대출 등이 가능하도록 했다고 밝혔다.
현지 주요 매체 등에 따르면 독일 정부는 독일재건은행(KfW)을 통한 무제한적 기업 유동성 제공 보증에 더해 추가로 1000억유로(약 133조원) 규모 추가 예산안을 오는 23일까지 확정하고, 25일 독일 연방하원 예산위원회에서 처리할 방침이다. 최근 영국과 프랑스도 각각 3300억파운드(약 496조원), 3200억달러 대출보증 등 직접적인 지원 정책을 제시했다.

코로나로 인한 실물경제 충격과 더불어 저유가로 인한 미국 셰일기업들의 신용·금융위기가 고조되는 상황에서 러시아와 유가 전쟁을 벌이던 사우디아라비아도 경기부양책을 내놓았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20일(현지시간) 무함마드 알자단 사우디 재무장관은 중소기업 등에 700억리얄(약 23조원)에 달하는 긴급 지원책을 발표했다. 이는 지난 14일 사우디 중앙은행이 발표한 중소기업 대출 만기 연장, 담보 프로그램 지원 등 500억리얄(약 16조5000억원) 규모 경기부양책에 이어 추가로 나온 대책이다.
한국정부도 지난 19일 열린 비상경제회의에서 홍남기 경제부총리가 2차 추경 편성 가능성을 거론하면서 후속 부양책에 대한 가능성도 열어둔 상황이다.
[안갑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