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17세 사망자 검사 결과, "오류 가능성 있지만 단정 어려워"
입력 2020-03-19 13:53 
[사진 출처 = 연합뉴스]

대구에서 사망한 17세를 대상으로 코로나19 검사를 10번 진행했으나 그중 1번만 양성으로 나오자 일부 전문가들은 검사 결과에 오류 가능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이들은 '위양성' 사례가 종종 있다고 봤다.
위양성이란 원래라면 음성으로 나왔어야 할 상태의 환자를 양성으로 진단하는 것을 말한다.
다만 전문가들은 이번 사례의 경우 앞으로 나올 검사 결과를 지켜봐야 한다고 판단했다.

19일 방역당국 등에 따르면 지난 18일 대구에서 발생한 17세 사망자는 총 10번의 코로나19 검사를 받았다.
그는 사망 전까지 9번의 검사를 받았고 계속 음성으로 판정됐다.
하지만 사망 후 실시한 소변 검사에서는 양성 소견이 나왔다.
방역당국은 소변 검사 결과를 '미결정'으로 판단하고 여러 대학병원에 검체를 보내 교차 검사에 나섰다.
코로나19 중앙임상위원회도 이 소년의 사례에 대해 논의하기로 했다.
방지환 중앙감염병센터장은 "딱 1번만 양성이 나왔다면 실제로는 코로나19가 아닌데도 위양성이 나왔을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엄중식 가천대 길병원 감염내과 교수는 "증상이 심해져 기도삽관, 에크모(ECMO) 등을 달았다고 하는데, 이 상태에서 채취한 호흡기 검체의 검사 결과는 신뢰도가 높다"고 말했다.
최종적으로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사이토카인 폭풍'이 소년의 사망 원인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다.
사이토카인 폭풍은 건강한 사람이 바이러스에 감염됐을 때 면역 작용이 과다하게 이뤄져 정상 세포까지 공격하는 현상이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대한예방의학회 코로나19 대책위원장)는 "어떤 것도 단언할 수는 없지만 젊고 건강한 사람이 갑작스럽게 사망했다면 사이토카인 폭풍을 의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그러나 사이토카인 폭풍 자체가 매우 드문 케이스이므로 부검하지 않는 한 모든 건 추측일 뿐"이라며 말을 아꼈다.
[디지털뉴스국 김지원 인턴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