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타다 드라이버들 "베이직 중단 철회하고 생계 대책 마련해야"
입력 2020-03-19 11:15 
렌터카 방식의 차량 호출 서비스 `타다` [사진 = 매경DB]

오는 4월 11일 렌터카 방식의 차량 호출 서비스 '타다'가 서비스 중단을 예고한 가운데, '타다' 드라이버들로 구성된 비상대책위원회가 19일 공식 출범했다. 비대위는 타다의 베이직 서비스 중단 조치 철회와 생계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비대위는 이날 서울 정동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대회의실에서 공식 출범을 선언하고 타다 모회사인 쏘카의 이재웅 전 대표와 타다 운영사인 VCNC의 박재욱 대표에 대해 "1만2000명 드라이버들과의 상생 조치도 없이 베이직 서비스 잠정 중단을 발표하며 타다 차량의 일부 매각 절차에 들어갔다"고 비판했다.
비대위는 ▲ 타다 베이직 서비스 중단 조치의 즉각 철회 ▲ 모든 드라이버의 근로자 지위 인정 ▲ 국토부와 협상을 거쳐 드라이버의 생계 대책 마련 등을 요구 사항으로 내놨다. 이어 "드라이버들에게 그들(이 전 대표와 박 대표)의 언행은 참을 수 없는 분노로 돌아왔다. 그들에게 맞서기 위해 비대위는 방법과 수단을 가리지 않고 법적 조치도 불사하겠다"고 경고하기도 했다.
일명 '타다 금지법'으로 불리는 여객자동차운수사업법(여객운수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함에 따라 타다는 베이직 서비스를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 베이직 서비스는 타다의 핵심 사업으로, 고객의 호출을 받아 운전기사가 딸린 11인승 승합차를 보내준다. 타다는 지난 2018년 10월 시범 서비스를 시작한 뒤 승차 거부 없는 배차와 쾌적하고 친절한 서비스 등이 인기를 끌면서 이용자 170만명, 기사 1만2000명을 확보한 서비스로 급성장했다.
비대위는 "베이직 서비스 중단에 따른 감차 조치로 드라이버의 일자리가 위협받고 있다며 타다가 드라이버들을 '일회용품'으로 취급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비대위는 또 "지금은 개정 여객운수법에 따라 총량제와 기여금 등에 관해 국토부와 협상하고 타다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계획을 세워야 할 때이지, 사업을 무책임하게 내팽개칠 때가 아니다"라고 주장했다. 이들은 "이재웅 전 대표는 처음부터 여객운수법 개정안을 타다 금지법으로 규정하고 폐기를 주장했을 뿐, 새로운 방안을 찾기 위한 노력은 하지 않았다"며 '타다의 정상화'를 촉구했다.
[홍성용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