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환자 최대 46% 감소…병원 의료체계 붕괴우려
입력 2020-03-19 11:01 

병원들도 코로나19(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로 환자가 절반 가까이 줄어 심각한 경영난과 함께 의료체계 붕괴로 이어지지 않을 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다.
대한병원협회(회장 임영진)가 전국 병원 98곳을 대상으로 코로나19 사태 이후 입원환자 수 변화추세를 파악한 결과, 코로나 발생 초기인 1월과 2월은 전년 같은달 대비 각각 평균 -3.68%, -3.49% 감소에 머물던 것이 코로나19가 본격적으로 유행하기 시작한 3월 들어 평균 -26.44%로 급격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규모가 작을수록 환자감소 폭이 컸다. 전년 같은 기간 대비 상급종합병원의 환자 감소율은 -16.68%인 반면 종합병원과 병원급은 각각 -27.05%, -34.15%로 병원급의 환자 감소율이 상급종합병원과는 2배 정도 차이가 났다. 외래환자 감소폭은 더욱 큰 것으로 나타났다. 3월만 보면 지난해 같은 달 대비 상급종합병원 -26.09%, 종합병원 -23.31%, 병원급 -46.68% 환자수가 감소했다.
병협은 "환자 감소로 인한 경영난으로 병원이 정상기능을 하지 못하게 되면 코로나19에 대처할 수 있는 의료 인프라를 잃게 될 수 있다"면서 '요양급여비용 선지급'을 전국으로 확대해 줄 것을 요청했다. 또한 정부에서 수용은 했지만, '선지급'정책이 제한적으로 시행될 경우 병원들의 자금난 해소는 기대하기 어렵다며 대책마련을 촉구했다.
'요양급여비용 선지급'은 국민건강보험공단이 지난해 지급한 진료비를 기준으로 올해 3·4월치를 미리 지급, 긴급 운영자금으로 사용토록 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진료비를 담보로 금융권에서 융자(메디칼론)를 받은 병원에 대한 중복지원 논란으로 실효성을 기대하기 어렵다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병협은 '요양급여비용 선지급'계획과 관련해 "'요양급여비용 선지급' 제도를 이미 시행중인 대구·경북지역의 경우 180여곳의 신청 병원중 선지급을 받은 병원이 13곳에 불과한 것은 메디칼론을 받은 병원을 우선지원대상에서 제외했기 때문"이라며 "이번 선지급 전국 확대에서는 이같은 점을 감안, 메디칼론을 쓴 병원이라도 선지급을 받을 수 있게 해달라"고 건의했다. 병협은 이어 "선지급 지원금을 회수하기 위한 조치로 이해는 하지만 코로나19가 장기화 조짐을 보이고 있고 환자수 감소로 자금 유동성 위기에 빠진 병원들이 대다수인 점을 고려해 이번 만큼은 메디칼론을 받았더라도 선지급 대상에 포함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병문 의료전문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