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강남 재건축아파트 거래 절벽…충격 불가피"
입력 2020-03-18 17:18  | 수정 2020-03-18 20:12
코로나19발 부동산 침체가 가시화되는 와중에 정부가 종합부동산세 과세 대상인 9억원 초과 아파트 공시가격을 대폭 상향해 강남 주택 시장이 얼어붙을 것이라고 전문가들이 말했다.특히 보유 부담만 늘고 신규 유입세가 거의 실종된 강남 재건축 아파트를 중심으로 가격이 상당히 하락할 전망이다. 서울 아파트 시장은 '매도'보다는 '증여' 쪽에 무게가 실릴 관측이다.
박원갑 KB국민은행 수석전문위원은 "9억원 초과 고가 주택에 대한 공시가격이 대폭 상승하면서 서울 등 조정대상지역에서 10년 이상 보유한 다주택자는 한시적 양도세 중과 배제 기한인 올해 6월 말 이전에 매물을 내놓을 가능성이 있다"며 "절세 매물이 다소 증가하더라도 대출금리 부담이 줄어 시장을 경색시킬 가능성은 낮다"고 진단했다. 강남은 재건축 단지 위주로 가격이 상당히 빠질 것으로 관측됐다. 이명수 리얼앤택스 대표는 "이번 공시지가는 말 그대로 강남권을 정조준한 것"이라며 "지난해 12월 대출규제에 이어 보유세 부담까지 늘리면서 강남권에 대한 신규 유입 수요가 많이 사라졌다. 문 정부 들어 재건축 승인이 나기 힘든 강남권 재건축 단지들은 가격 조정폭이 상당할 것"이라고 밝혔다.
거래량도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이창무 한양대 교수도 "현재 코로나19 사태로 부동산 시장이 위축됐고, 해당 사태가 장기화되면 그만큼 시장이 더더욱 침체될 수 있다"며 "급격한 공시가격 상승은 거래를 더 위축시킬 수 있으니 재건축·재개발 규제를 풀어 공급을 더 늘려 시장에 활력을 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시장 거래량은 줄어들지만 증여는 더욱 늘어날 것으로 전망된다.
임성환 ABL생명 WM센터장은 " 6월 말까지 매각 시 양도소득세를 배제해준다고 해도 마땅한 매물이 없다"며 "시장에 매물을 내놓기보단 가구분리를 통해 자녀에게 증여해 보유세 부담을 낮추려는 자산가들이 앞으로도 많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나현준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