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인천공항 `반쪽짜리` 임대료 인하…국토부, 공항 입점업체 임대료 인하하면서 대기업 매장들만 쏙 빼놔
입력 2020-03-18 16:35 
한산한 인천공항 [사진출처 = 연합뉴스]

정부가 18일 공항 입점업체에 대한 임대료 인하 방안을 내놓으면서 공항에 입점한 대기업 지점들은 제외해 논란이 일고 있다. 업계에서는 "코로나가 대기업만 피해가나"라며 정부 정책에서 '대기업 패싱' 현상이 심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정부 발표에 따르면 현재 운항이 전면 중단된 공항은 제주, 대구, 청주, 무안, 사천, 포항, 원주, 무안공항 등 총 8곳으로 임대료 전액면제 대상은 이들 공항에 입점한 중소기업·소상공인 매장이다. 3개월 기준 총 11억원 수준이다. 제주공항의 경우 신라면세점, 롯데리아, 파리바게뜨 등 매장이 입점돼 있지만, 대기업 운영 업체다보니 임대료 면제 대상에서 제외됐다. 이밖에 인천공항을 포함, 국내 모든 공항 전 입점업체에 대해선 임대료 3개월간 납부 유예(무이자)를 실시한다. 정부는 앞서 지난달 인천공항 등 공공기관에 입점한 중소기업·소상공인 운영 매장에 대해선 임대료 6개월간 25% 감면 대책을 내놓은 바 있다.
대기업 관련 업체들은 이에 대해 "허망하다"는 반응이다.
인천공항의 경우 최근 이용객이 90% 이상 급감하면서 업체들의 매출도 곤두박질치는 상황이다. 이달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90%나 급감한 업체들도 속출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코로나19가 전세계적으로 확산되면서 경기회복 속도도 느릴 게 불보듯 뻔하다"며 "지금 줄어든 여행객이 3개월 후에 쏟아지는 것도 아닌데 이게 무슨 대책이냐"며 분통을 터트렸다. 또 다른 관계자는 "임대료 감면 대상을 '소상공인'으로 표현했지만 이는 약자를 대변하겠다는 것이 아닌 공항의 경제적 피해를 최소화하겠다는 것처럼 들린다"고 말했다. 또 "코로나19가 대기업만 피해가냐"며 "임대료 3개월 유예는 전혀 실효성없는 대책으로 '무이자'라는 말에 더 화가 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인천공항공사의 경우 전체 수익의 3분의2가 상업시설 임대료에서 나오고 그중 90% 가량이 대기업 매장에서 나오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임대료가 워낙 높다보니 애초에 대기업이 아니면 뛰어들기 힘든 구조이기 때문이다.
정부가 코로나19로 경제의 전후방이 모두 흔들리는 와중에도 '대기업 패싱' 정책만 내놓고 있다는 시각도 팽배하다.
당국 사정에 밝은 한 관계자는 "초유의 사태를 맞은 상황에서도 인천공항 임대료 인하와 관련해선 일단 대기업은 빼놓고 보자는 분위기가 감지된다"고 전했다. 한 대기업 관계자는 "대기업이 이번 코로나19사태로 위기로 내몰린 가운데 협력업체와 대금지원 등으로 상생을 강화하는데, 정부는 기업들이 그저 '우는 소리'를 한다는 인식이 여전하다"며 아쉬워했다.
기업들은 여전히 향후 추가 대책 여부에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이에 대해 인천공항공사는 "향후 여객·매출 추이를 살펴보며, 가능한 지원방안을 정부와 지속적으로 협의 예정"이라고 전했다. 공항·항공정책 전반을 담당하는 국토부는 "추가 대책과 관련해 정해진 건 없다"며 선을 그었다.
[이윤재 기자 / 김태성 기자 / 심희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