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권
채권시장안정펀드 조성하고 증시 거래시간 단축도 검토
입력 2020-03-17 17:29  | 수정 2020-03-17 20:18
금융위원회가 주가가 비이성적으로 폭락할 경우 공매도 금지에 이어 취할 수 있는 안정기금 투입, 선물매도 주문 금지, 가격제한폭 축소 등 단계적 컨틴전시 플랜(비상계획)을 점검했다. 다만 강한 정책을 쓰면 후속 대책 부재와 자본시장 신뢰 하락 등 역효과가 발생할 수 있는 만큼 신중히 선택하겠다는 방침이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사진)은 16일 금융시장 점검회의를 열고 즉시 시행 가능한 시장 안정 방안을 점검했다.
은 위원장은 특히 시장 안정 조치와 증시 수급 안정화 방안이 즉시 가동될 수 있도록 준비에 만전을 기할 것을 주문했다. 시장 안정 조치는 채권시장안정펀드, 금융안정기금 등으로 금융위는 전날 국내 주요 금융지주사 최고재무책임자(CFO)와 함께 금융지주임원 간담회를 열고 대형 시장안정펀드 조성 방안을 논의한 바 있다. 이날 금융위가 검토한 컨틴전시 플랜에는 증시 안정기금 투입을 비롯해 선물매도 주문 금지, 주식 가격제한폭 축소, 주식시장 임시휴장 등 고강도 대책도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증시 폭락이 심화되면 현행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 30분까지인 주식매매 시간을 축소하고, 하루 변동제한폭인 ±30%를 예전 기준인 15% 등으로 축소하는 방안 등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변동성이 커지고 있지만 긴급 조치를 취할 만큼은 아니다"며 "향후 문제가 커질 수 있어 다양한 안전판을 마련하고 있는 것일 뿐 당장 실행한다는 의미는 아니다"고 전했다.
이 밖에 비과세 장기주식펀드 등으로 투자를 유도하는 방법도 논의됐다. 당국의 한 관계자는 "증시 폭락 사태에 따라 즉각적인 정책을 꺼낼 수 있지만 어느 정도 증시 바닥이 감안될 때 적극적인 대책을 내는 것이 순서"라고 귀띔했다.

금융위와 함께 금융감독원도 금융시장 위험 요인 상시 점검 및 즉각 대응을 위해 시장 불안이 진정될 때까지 원장 또는 수석부원장이 주재하는 '일일 점검체제'를 운영하기로 했다.
한편 전날 김태현 금융위 사무처장 주재로 열린 금융지주사 임원 간담회에서는 금융시장안정펀드 외에도 소상공인에 대한 저리 대출,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시중은행 업무 위탁 확대 방안, 내수서비스업종 영세소상공인 지원 방안 등을 점검했다.
[진영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