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WHO "한국 코로나19 연구 참여하고 싶다"…정부 수락
입력 2020-03-17 16:17  | 수정 2020-03-24 17:05

정부가 세계보건기구(WHO)와 함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관련 전문가 회의를 열기로 했습니다. 국내 전문가가 주도하는 회의에 WHO가 참여하고 싶다는 의사를 밝혀 정부가 받아들이기로 한 것입니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오늘(17일) 충북 오송 질병관리본부에서 열린 정례 브리핑에서 "코로나19와 관련해 국내 전문가가 주도하는 전향적 동일집단(코호트) 연구를 시작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

권 부본부장은 "준비회의가 내일 열리며, 이 회의에는 국내 전문가나 연구 참여자, 관계기관은 물론 WHO 본부에서 전문가 2명이 긴급 내한해 이 연구에 참관 내지 동참할 계획"이라고 말했습니다.

이 연구는 국내 예산으로 국내 연구자가 주관합니다. 주관기관은 중앙임상위원회를 사실상 이끄는 국립중앙의료원입니다. WHO 측에서 연구 참여 의사를 전해왔고 정부가 이를 수용하기로 했습니다.


한국의 연구 결과가 세계 각국에 대한 코로나19 대응지침 혹은 권고를 만드는 데 근거자료가 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라 (WHO가) 협력을 요청한 것으로 보인다고 권 부본부장은 전했습니다.

권 부본부장은 "국내 코로나19 환자의 임상 경과, 바이러스학적·면역학적 특성 연구가 WHO를 통해 전 세계의 코로나19 방역에 도움이 된다는 차원에서 WHO의 제안을 수용했다"고 말했습니다.

연구는 한 환자의 가검물(검사물)을 시간 단위로 확보, 면역학적·혈청학적 특성 등을 분석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코로나19가 어떤 임상 양상과 경로를 보이는지 연구해 대응전략을 수립하는 데 참고할 수 있습니다.

WHO가 제시한 연구 프로토콜은 환자의 혈액, 소변, 대변, 호흡기 등 4가지 가검물을 정기적으로 확보해 바이러스의 양과 존재 여부, 증상 발현·소멸 시기 등을 살펴보는 방식입니다.

다만 이는 참고사항일 뿐 최종적인 연구 계획은 한국 연구진이 정합니다. 개별 환자의 데이터를 기본으로 하므로, 각 환자의 동의를 받아 진행하게 됩니다.

권 부본부장은 "다른 나라의 경험을 배워가고 이를 토대로 대책을 변경해가며 유연하게 대응하는 게 사실상 현재 각국의 방역기구들이 하는 활동"이라며 "(코로나19의) 전 세계적인 대유행 상황에서 향후 각국의 대응전략 수립에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