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환율상승·유가하락 영향…2월 수출물가↑·수입물가↓
입력 2020-03-13 06:01 
[사진 제공 = 연합뉴스]

환율상승과 유가하락의 영향으로 수출물가는 오르고 수입물가는 하락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물가 상승은 기업의 채산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그 반대의 경우 부정적 요인으로 작용한다. 수입물가가 오르면 국내 물가의 상승 요인으로 그 반대면 하락 요인으로 작용한다.
한국은행이 13일 발표한 '2020년 2월 수출입물가지수'를 보면 지난달 수출물가 지수(2015년 100기준)는 97.90으로 전달에 비해 1.2% 상승해 한 달 만에 다시 오름세로 돌아섰다.
강환구 한은 경제통계국 물가통계팀장은 "환율상승으로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운송장비 가격이 올라 수출물가 상승에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원·달러 평균 환율은 1월중 1164.28원에서 2월중 1193.79원으로 2.5% 올랐다.

다만, 1년 전과 견줘 수출물가는 1.8% 하락해 9개월 연속 내림세를 지속했다. 환율 영향을 제외한 계약통화 기준 수출물가는 전월 및 전년 동월 대비 각각 1.1%, 7.2% 하락했다.
품목별로 보면 농림수산품은 전월 대비 2.3% 상승했다. 공산품은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운송장비 등이 올라 전월 대비 1.2% 올랐다. 이중 반도체 수출 품목인 D램은 2.8% 올라 한 달 만에 다시 상승했다.
지난달 수입물가 지수는 106.52로 국제유가 하락 등에 기인해 전월 보다 1.3% 내렸다. 이는 2개월 연속 하락한 것이며, 1년 전보다는 0.9% 내린 것이다. 환율 영향을 제외한 계약통화 기준 수입물가도 전월 및 전년 동월 대비 3.4%, 6.2% 각각 떨어졌다. 배럴당 평균유가(두바이유 기준)는 1월중 64.32달러에서 2월중 54.23달러로 15.7% 하락했다.
품목별로 보면 원재료는 광산품 등이 내려 전월 대비 6.9% 하락했다. 중간재는 석탄 및 석유제품은 내렸으나 컴퓨터, 전자 및 광학기기, 전기장비 등이 올라 전월 대비 0.8% 상승했다. 자본재 및 소비재는 전월 대비 각각 1.6%, 1.3% 올랐다.
[디지털뉴스국 전종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