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공매도 사면초가' 몰렸던 철강·금속업종, 규제 강화 덕볼까
입력 2020-03-12 08:13  | 수정 2020-03-19 09:05

국내증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의 충격을 본격적으로 받은 이후 철강·금속 업종에 공매도 거래가 집중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최근 금융당국이 공매도 규제를 강화함에 따라 이들 업종의 주가 하락 폭이 줄어들지 주목됩니다.

오늘(12일) KRX공매도종합포털에 따르면 철강·금속 업종은 지난달 24일부터 그제(10일)까지 전체 주식 거래 대금에서 공매도 거래 대금이 차지하는 비중이 13.72%로 유가증권시장 업종 가운데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 기간 철강·금속 업종은 1조9천697억 원어치가 거래됐으며 공매도 거래 대금은 2천702억 원이었습니다.


통신(11.63%)과 유통(11.23%), 증권(11.05%), 화학(10.84%), 보험(10.65%), 은행(10.37%) 등이 뒤를 이었습니다.

지난달 24일은 주말인 22∼23일 국내 코로나19 확진자가 급증한 영향으로 코스피가 83.80포인트(3.87%) 급락하는 등 증시 충격이 본격적으로 시작된 날입니다.

특히 종전까지 하루 3천억∼5천억 원대였던 공매도 거래 규모가 이 무렵부터 점차 증가해 최고 8천억 원 후반대를 기록했고, 개인 투자자들 사이에서 공매도가 주가 하락을 부채질한다는 비판이 나왔습니다.

공매도는 주가가 하락할수록 이익을 보는 투자 기법일 뿐 아니라 사실상 외국인과 기관이 투자의 대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입니다. 공매도는 주가 하락이 예상되는 주식을 빌려서 판 뒤 실제로 가격이 내려가면 싼값에 사들여 빌린 주식을 갚아 차익을 남기는 투자 기법입니다.

실제 코로나19 사태로 인한 하락장에서 공매도 비중이 가장 컸던 철강·금속 업종은 하락 폭이 12.64%로 코스피 전체(-9.24%)보다 컸습니다.

지난 10일 금융당국은 향후 3개월간 공매도 과열종목 지정요건을 완화해 대상을 확대하고 공매도 금지 기간도 늘리는 내용을 담은 공매도 규제 강화 방안을 발표했습니다.

이에 따라 증권업계에서는 공매도 거래가 집중됐던 업종이나 종목들이 수혜를 볼 것이라는 기대가 나옵니다.

이나예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큰 공매도 비중이 항상 주가 하락을 유발하는 것은 아니지만, 공매도 물량 증가는 개별 종목에 수급 부담으로 작용한다"며 "특히 최근처럼 증시 전반에 불확실성이 크고 상승 모멘텀이 부족한 시기엔 주가 하락 압력이 커진다"고 설명했습니다.

새 기준에 따라 처음으로 공매도 과열종목에 지정된 11개 종목 중 9개 종목이 어제(11일) 주가가 상승 마감하면서 이런 기대를 뒷받침하기도 했습니다.

한편 이번 규제가 과거에 내렸던 조치보다 강도가 약해 큰 효과를 보기 어렵다는 분석도 있습니다.

정부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11년 유럽 재정위기 당시 한시적으로 공매도를 금지했는데, 이번 조치는 한시적으로 규제를 강화했을 뿐 공매도를 금지하는 방안은 포함되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김예은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과거의 공매도 금지 조치와 비교하면 이번 규제는 약한 것으로 보인다"며 "큰 폭의 주가 하락을 방어하는 데 어느 정도 효과는 있을 것으로 전망하지만, 큰 영향을 미치지는 못할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