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경영난' 두산중공업, 명예퇴직 이어 '경영상 휴업' 검토
입력 2020-03-11 11:51  | 수정 2020-03-18 12:05

수주 부진으로 경영 위기를 겪는 두산중공업이 명예퇴직에 이어 휴업까지 검토하고 있습니다.

오늘(11일) 두산중공업에 따르면 전날 금속노조 두산중공업지회에 '경영상 휴업 시행을 위한 노사협의 요청' 공문을 보냈습니다.

두산중공업은 고정비 절감을 위한 긴급조치로 근로기준법 46조, 단체협약 37조에 근거해 경영상 사유에 의한 휴업을 하겠다는 방침을 전달했습니다.

휴업 대상 선정과 휴업 기간 등 세부 방안에 대해서는 노동조합과 협의하기로 했습니다.


두산중공업은 휴업까지 검토하게 된 배경으로 원자력·석탄화력 프로젝트 취소로 인한 경영실적 악화를 거론했습니다.

두산중공업은 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들어있던 원자력·석탄화력 프로젝트 취소로 약 10조 원 규모 수주물량이 증발해 경영 위기가 가속화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2012년 고점 대비 현재 매출이 50% 아래로 떨어졌고 영업이익은 17% 수준에 불과한데, 최근 5년간 당기 순손실액이 1조 원을 넘어 영업활동만으로 금융비용을 감당할 수 없고 신용등급까지 하락하는 절체절명의 위기에 봉착했다고 전했습니다.

회사 측은 비용 축소, 신규채용 억제, 임원·조직 축소, 한시적 복지유예, 순환휴직, 인력 전환 배치, 조기퇴직, 명예퇴직 등 고정비를 줄이고 운영 효율화를 했지만, 한계에 도달했고 보다 실효적인 비상경영조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두산중공업지회와 금속노조 경남지부는 내일(12일) 경남도청 앞에서 경영진의 휴업 협의 요청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기자회견을 합니다.

[MBN 온라인뉴스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