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사망자 속출` 이탈리아에 빗장거는 유럽…오스트리아·체코 국경차단
입력 2020-03-11 11:37  | 수정 2020-03-11 15:39
이탈리아와 오스트리아 국경 경계에 있는 브레너 패스(Brenner Pass)에서 검역 절차가 진행되고 있다. [사진 = EPA 연합뉴스]

이탈리아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1만명을 넘자 '우리는 하나'라는 유럽통합의 이상에 균열이 가고 있다. 이탈리아와 국경을 맞댄 중유럽 국가들이 유럽연합(EU) 내 자유로운 이동을 보장한 셍겐 조약을 깨고 속속 국경을 걸어잠그면서다.
제바스티안 쿠르츠 오스트리아 총리는 10일(현지시간) "건강 증명서가 없거나 입국 후 14일 동안 자가 격리를 하지 않고 이탈리아에서 오는 여행객은 오스트리아로 입국할 수 없다"고 밝혔다. 셍겐 조약에 따르면 가입국 간 국경 검문과 출입국 심사를 모두 생략하는 것이 원칙이다. 하지만 코로나로 인한 사망자가 600명을 넘자 오스트리아가 "바이러스 확산을 막는 것이 급선무"라며 긴급 국경 통제에 나선 것이다. 이탈리아와 국경을 맞대고 있는 오스트리아의 확진자는 이날까지 123명에 달한다.
국가 전역에 이동 제한령이 내려진 이탈리아에서 경찰들이 기차 탑승 통제를 하고 있다. [사진 = AP연합뉴스]
이탈리아와 이웃한 슬로베니아도 국경 폐쇄를 선언했다. 이날 미로 체라르 슬로베니아 총리는 "누구도 이탈리아 여행을 해선 안되지만 아무도 이 명령을 따르지 않기 때문에 우리는 조치를 취하기로 결정했다"며 "(이탈리아와 접한) 232km의 국경선에서 가능한 빨리 국경 통제에 나설 것"이라고 말했다.
코로나가 유럽에 본격 상륙한 이후 셍겐 조약 효력 중단이 불가피하다는 지적이 제기돼왔다. 검염 무방비 상태의 자유로운 이동이 유럽 대륙 내 손쉬운 바이러스 침투로 직결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EU 측은 수차례 "국경 차단은 방역에 효과가 없다"며 차단 가능성을 일축해왔다.
그러나 의료 체계가 서유럽보다 열악한 중유럽을 중심으로 자발적인 국경 봉쇄가 잇따르고 있다. 폴란드도 '국경 차단' 대열에 동참했다. 마테우슈 모라비에츠키 폴란드 총리는 이날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국경에서 건강검진을 실시하겠다"고 밝혔다. 체코도 이날부터 국경에 경찰 등을 파견해 독일·오스트리아 등에서 건너오는 외국인에 대한 검역을 시작했다.
9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베네치아 산마르코 광장이 텅 비어있는 모습. [사진 = AP연합뉴스]
이들의 조치는 국가 보안 위협 등의 경우 국경 차단을 내릴 수 있는 셍겐 조약의 예외 조항에 근거를 둔 것으로 관측된다. 그러나 이번 국경 봉쇄가 EU가 산산조각 나는 신호탄이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자국 우선주의' 방역 대책이 회원국 간 분열을 심화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이날 유럽에서 사이프러스에서 확진 사례가 보고됨에 따라 EU 전체에서 확진자가 확인됐다.
[진영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