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
"대기업은 `착한 건물주` 못찾나요"…막막한 인천공항 식음료점
입력 2020-03-05 16:03 
4일 오전 한산한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 입국장. [사진 출처 = 연합뉴스]

인천국제공항 식음료 업체들이 경영난을 호소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로 이용객이 절반 가량 줄었지만, 임대료 감면 대상이 중소기업으로만 한정되면서 부담이 가중되고 있기 때문이다.
5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인천공항 식음료 매장 매출은 국내 첫 코로나19 확진자가 발생한 지난 1월 말 대비 50~60% 가량 감소했다. 현재 인천공항에서는 SPC와 아워홈, 롯데GRS, CJ푸드빌 등이 카페와 레스토랑 등 각 10~20개 매장을 운영 중이다.
이는 코로나19 여파로 중국이 자국민의 단체 해외여행을 금지하고, 감염을 우려해 국내외를 오고가는 여행객이 급감했기 때문이다. 인천국제공항공사에 따르면 지난달 27일 인천국제공항 여행객 수는 7만1666명으로 전년 동일(20만8241명)대비 65.5% 가량 감소했다.
코로나19 확산 초기에는 해외에서 국내로 들어오는 입국장 식음료점이 타격을 받았다. 그러나 국내 확진자 수가 급증한 데 따라 한국인 입국 금지를 내건 국가들이 늘어나면서 출국장 식음료점 매출도 줄어들었다. 외교부에 따르면 지난 4일 기준 한국인 입국을 제한하거나 입국 시 격리하는 등 관련 조치를 강화한 곳은 전세계 92곳으로 집계됐다.

한 관계자는 "코로나19 사태 초반에는 출국장 매장 매출감소율이 10% 안팎이었는데, 현재는 30% 가량 줄어든 상태"라며 "상반기까지는 이 추세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지난달 14일 입주 식음료업체들과 간담회를 갖고 해결방안을 논의했으나 물티슈와 마스크 등을 공급한다는 것 외에 뚜렷한 결과를 도출하지 못했다. 이에 각 업체들은 매장 폐점 시간을 2시간 가량 앞당기는 등 자구책을 마련하고 있는 상태다.
앞서 정부는 코로나19 민생경제 종합대책으로 '착한 임대인' 제도를 제시했다. 소상공인 임차인이 임대료를 인하할 시 정부가 절반을 분담하고, 추가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게 골자다. 여기에는 코레일과 인천공항, 고속도로 휴게소 등 공공기관도 참여한다. 그러나 지원 대상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으로 제한되면서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실제 더불어민주당 안호영 의원실에 따르면 2018년 인천공항 식음료매장 매출(2679억원)에서 임대료(640억원)가 차지하는 비중은 24% 가량이다. 매출이 절반 정도 줄어든 것을 감안하면 임대료 비중은 47%까지 치솟는다. 인건비 비중이 큰 서비스업의 경우 경영이 악화될 시 고용 불안이 뒤따를 수 밖에 없다. 현재 인천공항 식음료 매장에는 1500여명 가량이 근무 중이다.
식품업계 관계자는 "중소기업을 지원 우선 순위로 두는 것도 좋지만 대기업도 갈수록 경영이 악화되고 있는 상태에서 편가르기는 무의미하다"며 "이미 인천공항 식음료 매장 임대료가 비싸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는 만큼 상생 의미의 조정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신미진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