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코로나 여파에 아파트 공시가격 공개 일주일 밀린다
입력 2020-03-05 15:40 

이달 12일로 계획됐던 아파트 등 공동주택 공시가격 예정액 발표일정이 코로나19 바이러스 사태로 일주일 가량 밀릴 전망이다. 공시가격 책정 전담기관인 한국감정원 본사가 위치한 대구에서 지난달 중순부터 코로나19 문제가 커지면서 공시 관련 막바지 작업이 지연된 것으로 풀이된다.
5일 국토교통부 등에 따르면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 예정금액이 이달 19일쯤 공개되고 소유주 의견 청취에 들어간다. 작년 말 발표 예정날짜를 3월12일로 잡았던 점을 감안하면 일주일 가량 연기된 셈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대구에 본사가 위치한 감정원이 코로나 19 사태 등 여러 이유로 가격 검수작업이 늘어지고 있어 일정을 조금 늦춰달라는 요청을 받고 검토중"이라며 "4월29일로 예정된 최종 공시가격 발표날짜는 세금문제 등과 관련이 있어 미룰수 없는만큼 많이 연기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올해 아파트 등 공시가격은 고가주택을 위주로 크게 오를 것으로 전망된다. 지난해 서울지역 공동주택 공시가격은 평균 14.16% 올라 2007년(28.45%) 이후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한국감정원이 조사한 작년 서울 아파트값 상승률(8.03%)보다 더 많이 올랐다.
정부는 공시가격 형평성·균형성 제고를 위해 시세 12억원 초과 공동주택 가운데 시세가 급등했으나 현실화율이 상대적으로 낮았던 아파트의 공시가격의 끌어올렸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12억원 이하는 시세 상승분만큼만 공시가격을 올렸지만, 12억원 초과는 시세 상승분에다 현실화율까지 동시에 높여 큰 폭으로 공시가격이 뛰었다는 것이다.
올해도 비슷한 분위기가 이어질 전망이다. 정부는 올해 공동주택 공시가격 현실화율을 시세 9억~15억원은 70%, 15억~30억원은 75%, 30억원 이상은 80%까지 끌어올리기로 했다. 이에 따라 15억원을 넘는 아파트가 몰려 있는 서울 강남권을 비롯해 마포·용산·성동구 등 일명 '마용성', 동작구·광진·영등포(여의도동)·양천구(목동) 등 서울 주요지역의 공시가격이 상당히 뛸 전망이다.
[손동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