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한국·일본은 난리인데…대만선 마스크 대란 없다 왜?
입력 2020-03-03 15:38  | 수정 2020-03-04 09:28
최근 대만 타이페이 한 사원에 모인 대만 청년들. [AP = 연합뉴스]

한국, 일본에선 마스크 대란이 날로 가중되는 것과 달리 대만에선 발빠른 정보공개와 첨단기술 활용을 통해 혼선을 줄여 주목받고 있다.
자국내 마스크 상당량을 중국에 의존하던 상황이 오히려 위기감을 높여 파격적인 대응을 가능하게 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인구 2400만명의 대만에선 지난 1월 14일 첫 확진자가 나온 후 3일 현재까지 감염이 확인된 사람은 41명(사망 1명)이다.
가장 눈길을 끄는 것은 대만 정부에서 관리하는 '마스크 수요공급 자문센터'다. 39세의 젊은 장관인 오드리 탕 디지털총무 정무위원이 이끄는 PDIS(공공디지털혁신공간)에서 관리하는 사이트다. 마스크 판매가 이뤄지고 있는 모든 약국의 현재 보유량을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나 어플리케이션(앱) 등을 한곳에서 확인할 수 있다.
대표 서비스인 '약국 마스크 구매 지도'는 지도에서 약국을 클릭하면 현재 보유 중인 마스크 수량은 물론 영업시간, 주소, 전화번호 등까지 모두 확인할 수 있다. 이같은 정보가 현재 40여개의 사이트, 20여개의 앱, 10여개의 라인(메신저) 대응 앱 등이 올라와있다. 시각장애인 등을 위해 말로 답변해주는 앱도 나왔을 정도로 다양하다. 위생복리부(보건복지부 해당)를 통해 기초 데이터를 제공한 것을 기반으로 민간에서 개발했다.

해커출신의 트랜스젠더로 대만 IT정책을 총괄하는 탕 장관 주도로 30초마다 업데이트되는 건강보험 관련 정보를 공개하면서 단기간만에 이처럼 많은 사이트, 앱이 나왔다.
중국에서 마스크 수입이 끊기면서 대만 정부가 쏟아낸 강력한 정책도 한몫했다. 대만 정부는 1월 24일부터 자국내에서 생산된 마스크 수출을 전면 금지했다. 대만에서 첫 확진자가 발생한지 열흘 만이다. 초기엔 혼선이 적지 않았다. 1인당 3매 구입제한과 함께 가격 인하를 강제했지만 병원에서 쓸 마스크도 없어 비판이 쏟아지기도 했다. 문제 해결을 위해 대만 정부는 2월 6일부터는 자국내 생산 마스크 전량을 정부가 사들여 지정된 약국에서만 판매토록 했다. 가격도 더 낮췄다. 마스크를 약국에서 사려면 반드시 건강보험증을 제시해야 하고 혼잡을 막기 위해 구매 홀짝제도 도입했다. 건강보험증 번호 끝자리가 홀수인 사람은 월·수·금·일요일, 짝수인 사람은 화·목·토·일에만 구매가 가능한 식이다. 구매 수량도 1주일에 2매까지만 살 수 있도록 했다. 구매 내역이 건강보험을 통해 실시간 업데이트 되는 만큼 여러 곳의 약국을 방문해 사재기하는 것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다.
이같은 조치는 모든 마스크 구매 관련 정보가 건강보험과 연계됐음을 확인한 탕 장관은 2월초 복리위생부를 직접 설득해 관련 데이터 실시간 공개하면서 이뤄졌다. 누구든 복리위생부 홈페이지에서 관련 자료를 다운로드 할 수 있게 됐다. 유통도 개선됐다. 일례로 대만 우정공사에선 해당 데이터를 활용해 각 약국의 실시간 마스크재고 상황에 맞춰 배송하는 체계를 갖췄다.
대만 정부에선 생산량 자체를 늘리기 위해서도 이례적으로 대응했다. 기업을 상대로 증산요청과 함께 생산 전량 구매 약속까지 했다. 또 지난달엔 대당 1일 10만장 생산이 가능한 설비 60대를 정부가 구매해 15개 관련 기업에 기증했다. 신규 설비 기증을 통해 1일 생산량이 1000만장으로 높아졌다고 대만 정부는 밝혔다.
[도쿄 = 정욱 특파원 / 베이징 = 김대기 특파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MBN APP 다운로드